[산업칼럼] 4차 산업혁명 ‘일학습병행제’로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기사승인 2017-11-27 05:00:00
- + 인쇄
[산업칼럼] 4차 산업혁명 ‘일학습병행제’로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글·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업인재대학 최정훈 학장 

독일, 스위스 등 도제훈련의 역사가 오래된 국가는 청년 실업률은 낮고 기업생산력은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4년부터 한국형 일학습병행제를 도입, 4년 만에 1만 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해 5만명이 넘는 청년을 고용하는 등 좋은 호응을 얻고 있어 ‘학력 중심’ 사회에서 ‘실력 중심’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주요한 방안임을 보여주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세계경제포럼의 미래고용보고서는 향후 5년 간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00만 개가 새롭게 생겨날 것이며,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의 65%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직종에서 일하게 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분석을 내놓았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의 변화는 근로자들의 직무능력 또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현재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일학습병행제 또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 됐다

이러한 변화의 방향으로는 먼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일학습병행제 프로그램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인 NCS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미래유망분야 직종, 가령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드론 조종사, 핀테크, 증강현실 등 전문 직종에 대한 NCS 개발 및 관련 자격을 신설해야 한다.

다행히 한국산업인력공단이 2017년부터 이러한 상황에 대비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지만, 더욱 더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산업군으로 일학습병행제를 확대해야 한다. 현재 일학습병행제는 기계, 전자정보통신, 소프트웨어(S/W) 등이 주력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다. 앞으로는 로봇 S/W 개발, 로봇 유지보수, 바이오의약품, 스마트 팜 등 미래 산업군의 기업으로 확산, 발굴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계도 및 집중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인 대비는 결국 새로운 기술변화에 대응해 현장 기반의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달려있다.

일학습병행제는 현장 실무훈련과 학교 이론교육이 긴밀히 연계되어 있어 미래 인재양성을 위한 최적의 제도다. 청년들은 기업에서 다양한 기술을 비우며, 스스로 생산 프로세스의 질을 개선하는 등 문제해결능력을 키워나가고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문제해결과정에 접목해봄으로서 창의력을 길러나갈 수 있게 된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 정책의 미흡함을 지적하고 있는 상황인데, 그런 만큼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올해부터 일학습병행제의 새로운 사업으로 확대 시행중인 P-TECH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P-TECH는 현재 도제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에게 전문대학까지만 연계 지원한다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우수한 청년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도제학교-전문대학-일반대학교를 연계하여 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실제 독일의 경우에는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과 4년제 일학습병행제 대학(예: DHBW)과의 산학협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능시험에 해당하는 독일 아비투어 시험 상위 10% 학생들이 DHBW 대학에 먼저 지원한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확실한 대비는 우수한 직무역량을 지닌 인재양성이다. 4년 차를 맞이한 일학습병행제 및 P-TECH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확산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확실한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