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기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 필요하다

기사승인 2017-12-11 05:00:00
- + 인쇄
[특별 기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 필요하다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영찬 원장

고령사회의 도래로 인하여 만성질환자 수가 증가하고, 질병의 다양화로 의료비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개인별 질병 및 건강관리, 조기진단 및 최적 치료법 도출, 감염병 감시 등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억명 이상의 당뇨 환자 데이터를 분석, 저혈당 쇼크를 사전에 예측해 조기에 경고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민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정부 차원에서도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일본도 의료기관이 의료정보 생성 인증 업자에게 정보 제공시 사전 동의가 아닌 사후 철회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의료정보를 민간 연구기관에 제공하여 활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수한 양질의 보건의료 데이터와 함께, 병원 IT인프라도 우수하여 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활용에 유리한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데이터 개방 및 활용은 기관별로 분산되어 데이터를 연계해 활용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내년부터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사업’을 통하여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보건의료 관련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진료정보, 청구정보, 암 정보 연구, 조사 정보 등의 연계를 통해 공익적 목적의 연구에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시범사업이 성공하게 되면 감염병 유입 예측·진단·치료, 자살예측모형 구축, 치매예방서비스 개발 등 국민건강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여 반대의 목소리도 있으나 시범사업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질병의 예측력 향상, 치료방법 개선, 의료기술 개발 및 의료비 절감의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려면 먼저, 개인정보의 비식별화 조치 등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방안을 법과 제도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 공고히 다져야 한다. 그리고 공익적 목적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사용하는데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의 무궁한 발전에 가능성에 비추어 볼 때 보건의료 빅데이터 사업은 국민의 건강증진 및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