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지방선거] 경남도지사 가상대결 김경수 53.9%·김태호 35.4%…‘반드시 투표한다’ 92.5%

기사승인 2018-05-15 15:32:14
- + 인쇄

차기 경남도지사 선호도 조사에서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가 53.9%로 1위를 차지했다. 

15일 쿠키뉴스의 의뢰로 여론조사업체 조원씨앤아이가 경상남도 거주자를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경남도시자 선거에 출마한 다음의 인물 중 누구를 지지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53.9%가 김경수 후보를 꼽았다. 

김태호 자유한국당 후보는 35.4%, 김유근 바른미래당 후보는 1.8%다. 없음 4.1%, 잘 모름 3.6%, 기타 1.2%다.

김경수 후보는 젊은 유권자들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20대 69.1%, 30대 68.7%, 40대 63%, 50대 47.7%, 60세 이상 33.7%다. 김태호 후보는 20대 17.8%, 30대 20.1%, 40대 24%, 50대 41.2%, 60세 이상 59.3%다. 김유근 후보는 30대 3.3%, 40대 3.2%, 50대 1.6%, 20대 0.9%, 60세 이상 0.5%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90.8%, 정의당 68.6%, 민주평화당 35.2%, 바른미래당 26.8%, 자유한국당 4.9%가 김경수 후보를 지지했다. 김태호 후보의 경우 자유한국당 91.8%, 바른미래당 34.1%, 민주평화당 25.3%, 더불어민주당 3.7%의 지지를 얻었다. 

지지와는 별개로 당선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55.1%가 김경수 후보를 지목했다. 김태호 후보 37.2%, 김유근 후보 1.3%, 잘 모름 3.3%, 없음 2.3%, 기타 0.9%다.

김경수 후보는 동부권(김해·밀양·양산시)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들 61.2%가 지지와 별개로 김경수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창원권(창원시) 59.%, 서부해안권(거제·사천·진주·통영시, 고성·남해·하동군) 52.7%, 서부내륙권(거창·산청·의령·창녕·함안·함양·합천군) 33.4%다. 김태호 후보는 서부내륙권 53%, 서부해안권 36.8%, 창원권 35.2%, 동부권 33.7%의 지지를 얻었다. 김유근 후보는 서부해안권 2.6%, 서부내륙권 0.9%, 동부권 0.8%, 창원권 0.6%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이 이번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49%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영향을 미칠 것이다’ 42.8%, 잘 모름 8.2%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74.3%는 선거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자 76.2%는 드루킹 사건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상남도민 92.5%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가급적 투표하겠다’는 4.5%, ‘투표하지 않겠다’는 1%, 잘 모름은 1.9%다. 

‘지방선거에 투표 할 경남도지사 후보를 결정했는가’라는 물음에 79.6%는 ‘이미 결정했다’ 17.7%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잘 모름은 2.7%다. 후보를 이미 결정했다는 응답은 50대에서 가장 높았다. 이들 84.6%가 염두한 후보가 있다고 밝혔다. 60세 이상 83.7%, 40대 78.7%, 30대 77.3%, 20대 69.9% 순이다. 

[미리보는 지방선거] 경남도지사 가상대결 김경수 53.9%·김태호 35.4%…‘반드시 투표한다’ 92.5%이날 함께 발표된 정당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51.7%, 자유한국당 32.9%, 바른미래당 3.8%, 정의당 3.8%, 민주평화당 0.4%다. 없음 4.4%, 기타 1.7%, 잘 모름 1.3%다. 

이번 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유선전화50%+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50%, RDD 방식,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무작위추출)를 실시한 결과다. 표본수는 804명(총 통화시도 1만6691명, 응답률 4.8%,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5%p)이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오차보정방법 : [림가중]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2018년 4월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