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인터뷰] 전재수 의원 “서민과 함께하는 이웃사람 전재수로 불리고 싶다”

기사승인 2019-01-25 04:00:00
- + 인쇄

“정치가 가혹해지는 순간 국민들은 힘들어진다. 따뜻한 이웃사람처럼 항상 부단히 노력하겠다”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제부총리 정책보좌관, 청와대 제2부속실장 등을 지낸 부산을 지역구로 한 초선 의원이다. 그는 3번의 선거에서 떨어지고 4번째 20대 총선으로 당선됐다. 그는 지금 이 시대나 우리 사회가 지독한 경쟁과 가혹한 과정 등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자가 한 공동체의 일원임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면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는 서로의 이웃이어야 한다”며 “이웃끼리 머리를 맞대고 현재와 미래를 함께 모색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치를 하면서 내가 누군가에게 따뜻한 이웃사람이어야 함을 끊임없이 나 자신에게 상기시킨다고도 덧붙였다.

다음은 전재수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문재인 정부 집권 3년차에 접어들었다. 올해 최대 과제는 무엇인가

▶문재인 정부 3년차라는 말을 바꿨으면 한다. 2017년 5월에 취임했다. 취임한지 1년 7개월 됐다. 집권 2년차로 이제는 어떤 분야든 실적과 성과를 반드시 내야만 한다. 특히 경제·민생 분야는 꼭 성과를 내야한다.

-문 정부는 포용성장과 다 같이 잘 사는 세상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된 법안 등 추진 중에 있는 것은

▶포용성장이란 개념은 이 시대에 정확한 경제 진단에서 나온 목표 설정이라고 생각한다. 공정경쟁 바탕 위에서 하나는 혁신성장의 엔진과 소득주도성장의 엔진을 갖고 포용성장을 이룩하겠다는 것이다. 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법안을 통해 서민생활의 안정을 보다 다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전재수 하면 '이웃사람'이 떠오른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정치하는 사람으로만 비치는 걸 경계한다. 정치는 사회적 가치를 배분하는 영역인데 이곳에도 따뜻함이 없다면 가혹할 수 있다. 정치가 가혹해지는 순간 국민들은 힘들어진다. 그래서 정치인으로 가져야할 품성은 따뜻함이라고 생각한다. 무슨일이 생기면 이웃사람이 가장 먼저 알게되지 않나. 정치인 전재수보다 이웃사람 전재수로 불리고 싶다.

-전자상거래 전부개정안을 대표발의하셨다.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며 직접 겪은 불편한 점들도 반영하셨나.

▶저는 전자상거래를 이용해 주로 책을 사는데 간혹 파본된 것이 오는 경우가 있다. 옷이나 화장품 같은 품목은 더 그렇다고 하더라. 지금의 전자상거래법은 PC 통신을 이용하던 2002년도에 개정됐다. 그 법으로 5G 기반의 모바일 환경을 규제하려니 따라갈 수 없는 게 당연하다. 소비자, 기업, 정부 모든 영역의 의견을 잘 수렴해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

-지난 총선 때 생활밀착형 공약을 많이 세우셨다. 성과가 좀 있나.

▶서울보다 더 비싼 부산 북구의 쓰레기 봉투값을 인하시켰다. 뙤약볕을 피하기 위한 그늘막 쉼터, 버스정류장에는 바람을 막기 위한 온기나눔터를 설치했다. 적어도 세금을 내는 국민이라면 정치나 행정으로부터 보호, 배려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게 느끼시지 못하는 것 같다. 그 존중과 배려를 느끼게 해드릴 수 있는 방법이 생활밀착형 법안이라고 생각해 하나씩 발의해 나가고 있다.

- 본인이 생각하는 정치는

▶제 왼쪽 심장을 뛰게 하는 것. 점점 각박해지고 가혹해지는 우리 사회를 우리가 함께 우정과 우의를 나눌 수 있는 따뜻한 이웃 공동체로 바꿔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따뜻한 이웃사람 전재수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쿠키인터뷰] 전재수 의원 “서민과 함께하는 이웃사람 전재수로 불리고 싶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프로필
▲동국대학교 졸업
▲전 경제부총리 정책보좌관
▲전 청와대 제2부속실장
▲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전 국회 민생경제특별위원회 위원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현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현 더불어민주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

조진수·엄예림 기자 rokmc4390@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