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분쟁’ 여파에 국내 증시 급락, 하방 지속 가능성

기사승인 2019-08-07 04:00:00
- + 인쇄

‘미중 무역 분쟁’ 여파에 국내 증시 급락, 하방 지속 가능성미중 무역 갈등의 격화, 한일무역 전쟁, 바이오주의 하락세 등 삼중고의 악재로 인해 국내 증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향후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되면서 당분간 하방 곡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미중 무역 분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닌 G2로 성장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신냉전 전략에 맞물리고 있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다. 다만 많은 이들이 우려하고 있는 일본 무역 갈등의 경우에는 증권업계 관계자 마다 엇갈린 견해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9.48p(1.51%) 내린 1917.5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29p(3.21%) 하락한 551.50으로 마감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은 코스피 지수의 하락은 미중 무역 분쟁이 종전 보다 격화되면서 발생한 여파로 분석한다. 키움증권 서상영 연구원은 “전날 미 증시가 위안화가 심리적인 마지노선인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서자 트럼프가 ‘환율 조작’ 이라고 경고한 여파로 급락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전 트위터를 통해 “중국은 자국 통화 가치를 거의 역사적인 저점 수준으로 떨어뜨렸다”면서 “이는 '환율 조작(currency manipulation)'으로 불린다. 연준은 듣고 있냐”고 신랄하게 비난했다. 이는 중국의 환율 정책을 대응해 미 연방준비제도 측에도 기준금리 인하를 요구한 것이다.

문제는 두 국가의 무역 갈등이 단기적 이벤트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유진투자증권 변준호 리서치센터장은 “중국 정부가 미국과 타협하겠다는 기조를 바꿔 맞대응으로 전환했다”며 “내년 트럼프 재선을 염두화하면서 위안화 절하라는 버티기 전략으로 돌아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G2가 강대강으로 맞서는 국면으로 지속되면 대외 종속 변수가 큰 국내 증시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트럼프는 외교전략을 아메리칸 퍼스트라는 기조를 내세웠기 때문에 두 국가의 갈등은 지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세계 1, 2위 경제대국인 미중간 갈등을 '신냉전'(a new cold war)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투자회사인 블루베이자산관리의 티모시 애쉬 수석전략가는 지난해 12월 7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한 '중국과 미국 : 무역전쟁이냐 신냉전이냐'는 제목의 글을 통해 "미국과 중국 간 충돌이 무역문제를 넘어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미중 무역분쟁의 장기화 및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증시 반등에 대해서도 증권업계의 시각은 각양각색이다. 

SK증권 김효진 연구원은 “(증시 상황은) 반등 보다 추가 하락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며 “일본 정부의 추가 수출 규제,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및 위안화 약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증권 유승민 연구원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련의 우려들이 완화될 경우에는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며 “기업이익과 수출 경기가 회복될 경우에는 4분기에는 회복을 보이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국내 증시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해서는 예상 보다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한국투자증권 박정우 이코노미스트는 “한일 간 경제구조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종속에서 탈피, 협력과 경쟁관계로 변했기 때문”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양국간의 정책대응 능력 차이로 인해 생각보다 한국에게 불리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서상영 연구원도 “화이트리스트로 지정된 일본의 전략 물자는 1300여개지만 실질적인 것은 150개에 불과하다”며 “이는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일본 반도체 3개 주요 품목도 현재 일본이 수출을 중단한 것이 아니라 심사를 까다롭게 한다는 것을 염두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일본이 해당 품목을 판매하는 주요 거래처는 한국이 대부분이다. 장기화되면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현재 시점에 이것이 증시에 큰 타격을 주진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