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연
“선생님, 온클 안 돼요” “얘들아 학교로 오렴” 새학기 학교는 대혼란 
전국적으로 개학이 시작된 2일 오전 서울 강동구 강빛초중이음학교에서 초등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쿠키뉴스] 이소연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한국에서 발생한 이후, 세 번째 새학기 시작됐다. ‘코로나19 2년차’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등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EBS 원격 수업 플랫폼 ‘온라인클래스’ 오류로 제대로 된 쌍방향 수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교사가 올려둔 강의가 사라지거나 접속이 아예 되지 않는 사례도 빈번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교사는 온라인클래스 대신 줌, 구글클래스룸, 클래스팅 등 민간 플랫폼을 이용해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021학년도 첫 등교를 시작한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서울포이초등학교에서 입학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온라인클래스 오류가 지속되자 전면등교로 전환한 학교도 있다. 서울 신림중학교는 지난 4일부터 전교생이 등교해 대면 수업을 듣기 시작했다. 학교 측은 “온라인클래스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교직원 회의와 학부모 의견 수렴을 거쳐 오는 12일까지 전면등교를 결정했다”며 “교실도 여유가 있어 학생들이 거리두기를 지키며 수업을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림중학교의 학생수는 310명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까지는 매일 전교생 등교가 가능한 ‘소규모 학교’에 속한다.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교육 시스템이 여전히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인다. 지난 1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21년 업무보고에서 초등학교 저학년과 특수학교의 등교수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소규모 학교의 기준도 기존 300명 이하에서 400명 이하로 확대했다. 충북과 춘천, 경북 등 각 지방자치단체(지자체) 학교의 70% 이상은 새학기부터 전교생 매일 등교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코로나19 관련 방역을 진행하고 있다. 박태현 기자 매일 등교를 진행하는 학교의 입장에서 거리두기와 방역은 어려운 숙제다. 소규모 학교로 분류됐더라도 교실 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학생 수가 늘어난 만큼 방역 인력도 늘어야 하지만 체감이 어렵다는 토로도 나온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방역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 교사들이 방역의 짐을 모두 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등교 수업이 늘어난 만큼 방역 인력도 훨씬 더 많이 충원돼야 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지난해보다 적은 것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서울시내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지난해 12월15일 오후 서울 공릉동 화랑초등학교에서 원격 수업이 이뤄지고 있다. 박태현 기자 온라인클래스뿐만 아니라 원격수업 시스템 자체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무선인터넷망이 구축되지 않은 학교도 다수다. 원격수업 관련 일부 예산마저 끊겼다. 정부는 지난해 e-학습터, 디지털교과서, 위두랑 등 교육 사이트 이용 시 모바일데이터 무과금조치를 시행했다. 그러나 지난 1월1일부터 스마트폰 모바일데이터로 접속할 시 요금이 부과된다. 저소득층의 경우, 따로 신청해야 지원받을 수 있다. 경기 용인에서 근무하는 조재범 교사는 “원격수업을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자체가 구축되지 않았다”며 “여전히 원격수업을 위한 기기 대여가 필요한 학생들도 있다. 이들은 원격수업에 접속하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개학 후 학교의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다. 학생들을 보기 미안할 정도”라며 “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서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현장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이야기를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1학년도 첫 등교를 시작한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서울포이초등학교에서 열린 시업식에서 한 학생이 손소독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교육부는 원활한 수업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온라인클래스 먹통 논란과 관련해 “오는 8일까지 정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매일 야간작업을 진행 중이다. 문제가 된 부분들을 최대한 빠르게 고쳐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부총리는 5일 EBS와의 간담회에서 원격수업 플랫폼 오류의 빠른 개선을 촉구했다. 유 부총리는 “짧은 기간 내에 완벽하지 못했던 미흡함이 있으나 그만큼 고도화된 기술력이 필요했다”며 “최선을 다해 안정화하도록 당부드리고 교육부도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