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급부상 ‘mRNA’, 국내 업계 잰걸음

기업 간 컨소시엄·정부 인프라 지원 방점

기사승인 2021-06-17 03:00:02
- + 인쇄
코로나19로 급부상 ‘mRNA’, 국내 업계 잰걸음
서울시 중구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화이자 백신은 전 세계에서 최초로 상용화된 mRNA 백신이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연구에 돌입하고 있다. 모더나, 화이자 등 해외 기업에 비해 국내 업계가 후발주자인 만큼, 기업 간 협업과 정부의 지원이 관건으로 꼽힌다. 

mRNA백신은 코로나19 항원 단백질 정보가 담긴 유전물질(mRNA)을 지질나노입자(LNP)로 감싸서 만든 백신이다. LNP의 보호를 받으며 세포 속으로 들어간 mRNA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을 생산, 이들이 항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인체는 이에 대한 항체를 형성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갖추게 된다.

mRNA 백신은 현존하는 백신 기술 가운데 최신으로 꼽힌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확산을 계기로 상용화했다. 따라서 이 기술이 적용된 백신은 코로나19 백신이 유일하다. 모더나,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이 mRNA 백신이다. 아직 승인되지 않았지만, 유럽의약품청(EMA)의 심사 절차를 밟고 있는 큐어백의 코로나19 백신도 mRNA 백신이다.

우리나라에서 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백신 가운데 mRNA백신은 없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유바이오로직스의 후보물질은 노바백스의 백신과 같은 합성항원 백신이다. 국제백신연구소, 진원생명과학, 제넥신의 후보물질은 DNA백신이다. 셀리드의 후보물질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백신과 같은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다.

다만, mRNA백신 연구에 도전하는 국내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완제품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인천 송도에 mRNA 백신의 원료의약품 생산 시설을 증설한다고 밝혔다. 제품의 포장만을 담당하는 완제공정이 아닌, mRNA 원액을 생산할 역량을 키운다는 의미다. 

에스티팜은 올해 안으로 mRNA백신의 임상 1상에 도전할 계획이다. 22종의 후보물질 중 3종의 후보물질을 선정했으며, 최종 후보물질로 연내 임상에 진입하고 내년 상반기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는 것이 목표다. 에스티팜은 자체 개발한 mRNA 합성 기술 ‘5-캡핑(5 prime-capping)’ 기술을 특허출원했으며, LNP 기술도 확보했다. 아울러 원료 생산부터 핵심 공정까지 소화할 수 있는 설비를 지난달 증설 완료해 시생산 중이다.

한미약품은 진원생명과학과 mRNA 백신 공동연구에 나섰다. 한미약품의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와 진원생명과학은 백신 원료 의약품 대규모 생산 기술과 mRNA백신을 함께 연구·개발하기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진원생명과학은 mRNA 백신 후보 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mRNA와 DNA 백신 등 유전자 백신 공정을 개발 중이며, 평택바이오플랜트에 백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다.

해외 기업과 비교해 국내 업계는 mRNA ‘후발주자’인 만큼,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한 전략으로 꼽힌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mRNA백신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들을 각각 다른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협력적으로 파트너십이나 컨소시엄을 맺는다면 연구에 속도가 붙을 수 있을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려면 선발주자인 모더나, 화이자, 바이오엔테크 등과도 협력해야 한다”며 “정부가 해외 기업과 국내 기업을 매칭하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개발 인프라와 제도적 지원책에도 방점이 찍혔다. 정 원장은 “기업과 기업의 협력만큼, 기업과 정부의 협력도 필수적이다”라며 “모더나는 미국 정부로부터 연구 인프라, 임상시험 허가 및 진행, 연구비 등 여러 방면에서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업계가 선두를 따라잡으려면, 우리 정부도 기업이 임상시험 및 인허가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보완하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astleowner@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