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카카오뱅크 등 테크핀 약진과 달레마

기사승인 2021-08-20 17:31:20
- + 인쇄
[기자수첩] 카카오뱅크 등 테크핀 약진과 달레마
[쿠키뉴스] 유수환 기자 =  “마치 바이오주와 유사한 주가 흐름이다”

최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카카오뱅크의 주가 상승에 대한 한 애널리스트의 반응이다. 카카오뱅크의 주가 상승은 증권사의 예상을 벗어났다. 기존 은행업종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전망이 보기 좋게 빗나간 것이다.

20일 기준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9만1000원으로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43조2341억원으로 현대차(43조541억)를 제치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9위 자리를 차지했다. 기존 래거시 금융인 KB금융지주(21조1230억원)와 신한금융지주(19조1658억원)의 시가총액을 합친 것 보다 많다. 

이는 카카오뱅크가 기존의 은행업종의 문법을 벗어난 플랫폼 기업이라고 시장은 판단하고 있어서다. 

카카오뱅크는 전 세계 금융사와 비교해도 유례가 없는 기업이기도 하다. 인터넷 전문은행 가운데 순수 모바일 내에서 여수신 업무를 수행해 대형은행으로 성장한 사례는 세계 어디에도 찾기 어렵다. 일본의 대표적인 인터넷전문은행인 다이와넥스트, SBI은행, 소니뱅크, 라쿠텐은행도 비대면 금융사업을 하고 있으나 소액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대부분은 대리점 조직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성장은 틈새시장을 제대로 공략했기 때문이다. 기존 시중은행은 소비자에 전가하는 보안시스템으로 모바일상에서 사용이 매우 불편했다. 공인인증서 폐지 이전 은행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부터 송금까지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했기에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을 사실상 어렵게 했다. 하지만 카카오뱅크는 이러한 기존 틀을 깨고 모바일 내에서 소비자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카카오뱅크의 이 같은 방식은 현재 기존 은행이 후발주자로 따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의 밸류에이션 공식(PER·주가수익비율)과 다르게 높은 가치로 평가받는 이유도 바로 혁신금융에 대한 기대치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카카오뱅크가 보다 약진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카카오뱅크가 가장 고민해야 할 부분은 비대면 대출 사업 확장이다.

최근 카카오뱅크의 전세대출을 이용한 소비자 일부가 심사 지연으로 인해 위약금을 무는 등 피해를 받았다는 보도가 나와 논란이 됐다. 이에 카카오뱅크 측은 “청년전월세 대출이 7월부터 한도가 상향(7000만원→1억원)으로 상향되자 신청이 급증해서 발생한 일”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인력 채용을 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이번 논란은 사실상 예견된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은 신용대출과 달리 절차 상 까다롭고, 비대면으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은행권 관계자는 “영업점에서 경험을 토대로 말하자면 주담대나 전세자금대출은 일반 금융소비자들이 독자적으로 자금을 조달받기 절차 상 너무나 까다롭다”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따라 지속적으로 기준이 바뀔 수 있다. 개인에 따라서 금융지식이 천차만별이라는 점도 감안한다면 쌍방향 소통을 통한 절차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올해 초 도입된 금융소비자 보호법도 비대면 금융을 위축시킬 가능성도 있다. 많은 이들이 금소법에 대해 사모펀드 같은 금융상품에 대한 소비자 보호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금소법은 사모펀드와 같은 금융상품 외에도 대출 상품에 대한 강력한 규제도 담겨있다.

이는 과거 오바마행정부가 도입한 ‘금융개혁법(도드-프랭크 법안)’과 유사하다. 즉 금융사가 약탈적 대출을 권유하는 경우 소비자 피해의 책임을 금융회사에 돌릴 수 있다. 비대면으로 간단히 금융상품을 판매할 수 있었던 카카오뱅크가 고민해야 할 지점이기도 하다. 

아울러 카카오뱅크가 기존 금융업이 추구하는 유틸리티 비즈니스(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사업) 전략으로 갈지, 아니면 미국의 투자은행과 같은 수익성에 초점을 맞출지 귀추가 주목된다. 

shwan9@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