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초거대AI 현안 사업 국비’ 살리기에 총력

지난 9월 정부안 심사에서 미반영되면서 위기
윤두현 국회의원, 과방위 상임위에서 사업 필요성 강조
경북도, 국회 심사 과정서 재반영 되도록 만전

입력 2023-11-02 17:10:18
- + 인쇄
경북도, ‘초거대AI 현안 사업 국비’ 살리기에 총력
경북도가 지난 7월 14일 네이버클라우드·카카오·LG유플러스 등 국내 빅테크기업 대표 임원들과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혁신을 위한 초거대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세미나’를 열고 있다.(경북도 제공) 2023.11.02.

경북도가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초거대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 조성 사업’과 관련 내년도 정부 예산안 반영을 위해 중앙부처, 기재부 설득 및 대국회 활동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초거대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 조성 사업’은 AI엔진, GPU서버 등 초거대AI 클라우드 환경을 갖춘 마이크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주력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초거대AI 융합서비스를 발굴․실증하고 산학연 협력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초거대AI가 지방소멸을 해결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할 핵심기술이라는 판단에 따라 지역 산업 특화형 초거대AI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기획했으며 정부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3년간 총 320억원을 투입해 ▲초거대 AI 인프라 구성 ▲초거대 AI 융합플랫폼 실증 ▲산학연 협력생태계 등을 조성하게 된다. 

경북은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해 전력 소비가 많은 초거대AI 산업에 적합한 지역이다. 

여기에다 산학협력 생태계가 잘 조성됐으며, 초거대AI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중소벤처기업이 집중되는 등 AI산업과련 인프라도 탄탄하다.    

무엇보다 포항과 경산을 중심으로 AI관련 다양한 전문인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도 강점이다. 

경북도는 이를 위해 지난 7월 14일 네이버클라우드·카카오·LG유플러스 등 국내 빅테크기업 대표 임원들과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지역혁신을 위한 초거대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세미나’도 가졌다. 

이번 세미나에서 국내 초거대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에서 초거대AI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경북에서 지역특화형 초거대AI 모델을 개발하고 전국으로 확산해야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처럼 ‘초거대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 조성 사업’이 지역의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부상되면서 지역 정치권에서도 힘을 보태고 있다. 

윤두현(국민의힘, 경산) 국회의원은 지난 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에서 “초거대AI 분야의 수도권-지역 간 양극화를 우려한다”며 지역 초거대AI  확산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설명한 후 "경북도가 의지를 가지고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힘을 실었다.

한편, 초거대AI 분야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 학습에 따른 거대한 컴퓨팅 인프라가 필요해 대기업·정부 주도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중소기업 간,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 지원이 필수적인 요소다. 

하지만 경북도가 제안한 ‘초거대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 조성 사업’이 지난 9월 정부안 심사에서 미반영되면서 암초를 만났다. 

경북도는 이에 지난 10월부터 부족했던 사업 내용을 보완하는 등 사업을 재정비해 국회 심의를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본격적인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업예산이 원상회복 및 증액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방침이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경북이 앞장서서 초거대AI 지역 확산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국회의 정부 예산 최종 확정시까지 중앙부처, 기재부, 국회와 꾸준히 소통하며 사업예산 확보를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