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영향으로 확진자 증가 불가피… 내일부터 방역체계 개편”

광주·전남·평택·안성,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 고위험군 외 자가검사 우선

기사승인 2022-01-25 12:10:33
- + 인쇄
“오미크론 영향으로 확진자 증가 불가피… 내일부터 방역체계 개편”
서울 중구 삼익패션타운 주차장에 마련된 '전통시장 찾아가는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장 상인들이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영향으로 확진자 증가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이 본격적으로 델타를 대체하면서 당분간 확진자 증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어제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8356명으로 지난주 같은 요일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며 “다만 위중증과 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은 593명(7.1%)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는 이날 기준으로 392명으로 감소했고, 이중 60세 이상 고령층도 304명(78%)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18세 이하 청소년 확진자 비중이 29.2%로 2438명을 차지하고 있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 방역당국이 우려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위중증 환자 1500명까지 충분히 감당 가능한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을 갖추고 있다.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26일부터 재택치료 대응방안이 변경된다. 정부는 격리기간을 단축하고 건강모니터링 수준을 완화하는 등 관리체계를 효율화할 예정이다. 예방접종자에 한해 현재 10일의 격리기간을 7일로 단축한다. 미접종자는 7일 이후에도 3일간 자율적으로 격리해야 한다.

건강모니터링 횟수도 하루 2~3회에서 1~2회로 완화하는 방안도 시행된다. 건강모니터링 횟수가 줄어들며 관리 소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최종균 중수본 재택치료반장은 “재택치료자가 궁금한 사항이 있거나 질환 관련해 변동이 있다면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에서 전화 상담을 항시 실시할 수 있다. 24시간 대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재택치료도 활성화된다. 23일 기준으로 369개의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30일 기준 400개 이상으로 확충해 일일 확진자 2만명 이상 발생에도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또 원활한 대면 진료를 위해 현재 51개소 운영 중인 외래진료센터도 2월 말까지 90개소로 확충하기로 했다.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 이동할 때 자차나 방역택시를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해 구급차가 중증이나 응급의료환자만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접촉자의 자가격리도 예방접종완료자에 대해선 ‘면제’되고, 미접종 접촉자는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된다. 

26일부터는 광주, 전남, 경기 평택, 경기 안성 등 오미크론 변이가 유행 중인 4개 지역에 대해서 진단검사체계가 변경된다. 해당 지역에서는 고위험군이 아닌 확진자는 호흡기전담클리닉 외 동네 병·의원에서 진단 및 진료에 참여할 수 있다. 또 60세 이상이거나 고위험군이 아닐 경우 신속항원검사. 자가검사키트 등에서 양성으로 확인돼야 PCR(유전자 증폭)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박 반장은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불가피한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협조해달라”며 “고위험군에 해당하면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호흡기전담클리닉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전환으로 저위험군 진단이 다소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국적인 전환 시기는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해외에서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확진자가 빠르게 올라가 의료체계에 과부하가 굉장히 심해지는 문제를 겪은 바 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미국은 하루 확진자가 80만~100만명, 영국도 하루에 20만명 이상 확진자까지 올라간 적이 있다”며 “한국에서의 목표는 오미크론 전환 시기에 의료체계의 과부하나 중증환자·사망자를 적정 수준 이하로 최소화하면서 전환 시기를 넘긴다는 게 목표다. 감당 가능한 수준 내에서 유행을 통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