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영수 기자] 2017학년도 대입 결과, 고교 유형별로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이 가장 많은 학교는 서울대로 895명이 입학한 것(총 입학자 수의 26.7%)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세대 807명(20.8%), 고려대 785명(17.0%), 중앙대 749명(14.5%), 이화여대 748명(21.9%), 성균관대 681명(16.7%), 한국외대 586명(15.1%), KAIST(한국과학기술원) 547명(74.4%), 경희대 489명(8.9%), 한양대 449명(13.1%), 서강대 425명(22.3%) 순이었다.
입학자 수 대비 비율로는 KAIST가 74.4%로 가장 높았고, 서울대 26.7%, 서강대 22.3%, 이화여대 21.9%, 연세대 20.8%, 고려대 17.0% 순이었다.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 합격자 400명 이상을 나타낸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11개교 기준으로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 입학자는 7161명으로 총 입학자 수(3만 9946명)의 17.9%를 차지해 전년도 같은 기준의 16.9%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이와 같이 주요 상위권 대학 중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 합격자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과학고 출신의 합격자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2016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는 과학고 조기 졸업 제한 정책에 따라(조기졸업자 20% 이내 등) 해당 학년도 과학고 출신 합격자 수가 크게 줄었는데(2016학년도 709명으로 2015학년도 1343명과 비교해 634명 대폭 감소), 2017학년도부터는 다시 정상화되어 과학고 출신 합격자 수가 1098명으로 전년도 389명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고교 유형별로는 외국어고.국제고도 일부 합격자 수가 감소하여 11개교 전체 4337명(10.9%)로 전년도 4432명(11.0%)과 비교하여 95명 감소했다.
자율고는 올해 11개교 전체 6217명(15.6%)으로 전년도 6218명(15.5%)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이렇게 상위권 대학일수록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 학생이 많은 것은 입학 당시 선발 효과에 의해 초중등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진학하고 있고, 수시 전형에서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 학생들에게 유리한 수시 특기자 전형과 학생부종합 전형 선발 인원이 많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jun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