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뇌졸중·치매 발병 위험 ↑…인지도는 낮아

기사승인 2018-12-06 00:04:00
- + 인쇄

빠른 고령화로 국내 심방세동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대한부정맥학회에 따르면 국내 심방세동 유병률은 2006년 0.73%에서 2015년 1.53%로 두 배 이상 증가했고, 2015년 기준 전체 의료비에서 심방세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0.8% 정도다. 2060년에는 전 인구의 5.8%가 심방세동을 앓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심방세동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매우 낮은 실정이다. 또 ‘65세 이상에서는 심전도 스크리닝이 권장된다’는 국내‧외 가이드라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으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아 관련 후유증 발병 위험까지 도사리고 있다.

심방세동은 부정맥 중 하나로, 심장 윗부분인 심방의 여러 부위가 동시에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 두근거림, 어지러움, 숨 가쁨 등이 있지만, 환자 3분의 1은 이런 증상마저 없다. 이에 따라 진단 및 치료 시기도 늦어질 수 있는데, 문제는 심방세동이 뇌졸중, 심부전, 치매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이다.

 

심방세동, 뇌졸중·치매 발병 위험 ↑…인지도는 낮아

 

정보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방세동은 뇌졸중 위험을 5배, 다른 위험인자를 보정해도 2배는 올린다”며 “사망률은 2~3배, 치매 위험도는 2~3배 올린다”고 말했다. 특히 심방세동 환자에서 매년 20명 중 1명이 뇌졸중을 앓게 되지만, 부정맥학회에서 실시한 인지도 조사 결과 심방세동과 뇌졸중 질환의 연관성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19.3%로 낮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80세 이상 환자에서 8% 이상, 70~79세 6%, 60~69세 2.5% 등이 심방세동을 앓고 있다.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심전도 검사를 진행하면 20명 중 1명 정도에서 심방세동을 발견한다”며 “이들에게 항응고제 투여, 증상 조절 약물치료 등을 시행하면 뇌졸중 등 연관 후유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심전도 검사를 1년 이내 받은 적이 있는 60대는 32%에 불과했고, 받은 적이 없다고 답한 20대는 70%에 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에 국내 부정맥학회는 심방세동 스크리닝을 위해 65세 이상 고령에서 정기적으로 맥박을 측정하거나 심전도를 찍는 것을 권장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며 “유럽심장학회는 지난 2012년부터 이 사항을 가이드라인에 넣었고, 2016년에는 75세 이상에서 2주 간격으로 2회 스크리닝을 받도록 하는 지침을 포함했다”고 밝혔다.

이어 “가족력이 있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발병률은 더 높다. 심방세동은 물론 관련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의료 및 검진 제도가 잘 돼 있다. 65세 이상 국가건강검진에서 심전도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진배 경희대병원 심장내과 교수 또한 비용 효과적 차원에서 심전도 측정을 국가건강검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김 교수는 “심방세동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진단만 잘 되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도 예방할 수 있다”며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국가에서 관리만 제대로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검진 사업은 학문적인 접근보다는 비용 효과면을 더 중요하게 봐야 한다. 아무리 좋은 검사라도 비용이 고가라면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라며 “그런데 심전도 측정 비용은 한국의 경우 5불이 안 된다. 영국은 22파운드(미화 30불), 미국은 70~80불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리고 심방세동 외 급사와 관련된 많은 질환이 심전도 측정으로 진단되는 것을 고려하면 국가검진에서 심전도 측정이 빠질 이유가 없다”며 “일각에서 병원 수익 때문에 검진을 유도하는 것이냐는 비난이 있었는데, 심전도 측정 수가는 5400원에 불과하다. 오히려 인력, 기계 사용, 심전도 용지 등 원가가 높아 수가로 보전을 못 한다”고 덧붙였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