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10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백브리핑에서 "(화이자의 발표가) 긍정적인 결과라고 평가한다. 11월 미국 FDA 승인을 받을 것이라고 하는데 그때 백신 항체생성역가비율이라든지 유추하는 지속기간 등 과학적 데이터가 함께 제시되지 않을까 기대한다"며 "화이자를 포함해 백신을 개발 중인 세계적인 기업들 쪽에서 조금씩 3상 시험에 들어간 평가가 나오고 있는 현상은 고무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백신에 대한 기대감으로 고평가되었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손 반장은 "외국의 상황이 안 좋아 큰 기대감을 가지고 고평가 되는 중인데 지금 3상 결과가 나온 게 아니라 3상에 초기 중간결과가 나온 것이다. 아직은 3상이 완료되고 FDA 승인을 받고 공급망을 갖춰 생산하기 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생산 후 각국이 백신을 구매해와서 접종까지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백신 확보 전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손 반장은 "현재 코박스를 통해 유용 물자를 확보 중이고 한편으로 개별 협상을 통한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각국이 유력 백신 제조사들과 국가들을 상대로 여러가지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너무 단정적으로 효과가 좋다라고 기대하기는 섣부르다. 다만 백신이 나와 어느 정도 면역을 확보하게 되면 R값 균형을 아슬아슬하게 1정도로 맞추고 있는데 현재 방역에 백신이 보조적으로 곁들여지면 1이하로 낮추는 데 유용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백신 허가-생산-공급 시간 격차가 꽤 크므로 백신을 1~2달 내에 접종이 가능하거나 코로나19 상황이 끝나는 것이 아니다. 백신과 현재 방역체계가 융합되면서 상황을 장기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