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원격 의료 기술의 개발과 도입은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27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개최된 2021미래행복포럼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헬스케어 방향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고령화와 신종 감염병 등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원격 의료 도입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산 이후 의료계에서는 비대면 영역이 급격히 발전했다. 다양한 의료기관들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진료를 둘러싼 의료계와 산업계의 의견차이도 여전하다. 편의성을 제고하고자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대면 진료 원칙을 깰 수는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 사무총장은 원격 의료가 편의성 목적이 아닌, 생존에 필요한 기술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의료 환경에서는 고령의 환자들이 주기적으로 병원에 다니고, 약을 처방받기 위해 이동해야 한다”며 “면역력이 약하고 기저질환이 있는 이들은 잦은 의료기관 방문이 결코 유익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면진료를 우선으로 하되, 원격진료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도입하면 소비자에게 보다 이로운 의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사무총장에 따르면 시민사회 내에서도 원격 의료에 대한 찬반 입장이 대립한다. 그는 “의료 영리화와 상업화 우려를 비롯해, 안전성과 개인정보 보호 관련 이슈, 대형병원 쏠림 문제 등이 불거질 수 있다”며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했지만, 이를 차근차근 풀어가며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로 정 사무총장은 건강보험 체계 개편을 꼽았다. 그는 “신(新)의료기술이 대부분은 비급여로 소비자에게 소개된다”며 “안전성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고, 의료비 지출만 증가시키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보험료 인상을 감수하더라도 신기술에 대한 검증을 확대하고, 소비자의 접근성도 개선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스마트폰을 활용해 일상 속에서 원격 의료 도입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제안도 나왔다. 정 사무총장은 “원격 의료 도입 초기에는 거창하고 낯선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며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기반해, 쉽고 활용도 높은 서비스를 소개하고 점차 기능과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수가 문제 해결, 진료기록 표준화, 진료 정보 교류 환경 구축, 의료소비자의 정보 주권 확보 등 선결과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토론에 앞서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가 코로나19 이후 본격화한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시넌강의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백남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주임교수 ▲박수현 대한의사협회 홍보이사 겸 대변인 ▲박재영 법률사무소 정우 대표변호사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등이 패널로 참석해 토론했다.
castleowner@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