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인 위원장 “개인정보 기술개발 예산 30억 확보…보급·지원확대”

개인정보위·KISA,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 스타트업 시상

기사승인 2021-09-14 15:49:41
- + 인쇄
윤종인 위원장 “개인정보 기술개발 예산 30억 확보…보급·지원확대”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과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이 9월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컴투테크놀로지에 들러 ‘제1회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 스타트업 챌린지 시상식’을 가지고 있다.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에 30억원을 쏟는다. 

개인정보위는 14일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 스타트업 챌린지 시상식’을 열었다. 

스타트업 챌린지는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는 신기술이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우수 기술을 보유한 새싹기업과 중소기업을 발굴할 목적으로 진행된 행사다. 컴트루테크놀로지 외 2개사가 선정됐다. 

최우수상인 개인정보보호위원장상은 컴트루테크놀로지가 받았다. 이 회사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서류 중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될 확률이 높은 신분증·주요 증명서 등을 자동 분류해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 

우수상인 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은 데이타스와 센스톤이 수상했다. 

데이타스는 가명처리 대상식별, 재식별 위험성 평가, 재현데이터 생성 등 가명처리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개인정보 가명·익명조치 통합관리 기술”을 제안했다 

센스톤은 OTAC(One-Time Authentication Code 일회용 사용자 인증 코드)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인증기술을 제안했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신규 연구개발 예산으로 30억원을 확보했다. 신기술 변화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는 우수기술에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시상식 이후 개인정보 톡톡릴레이 순서가 마련됐다.

상을 받은 기업 3곳 대표와 동형암호(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로 분석·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 양자내성암호(양자컴퓨터를 이용한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암호 알고리즘) 등 암호분야 강소기업인 크립토랩 대표가 참여해 개인정보 보호 기술 소개와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비대면 확대로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정책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제도와 균형을 이루는 기술 개발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개인정보 보호·활용 분야 시장은 초기 단계로 정책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동형암호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 관심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나온 의견을 ‘개인정보 보호·활용 R&D 로드맵’에 반영할 계획이다.

윤종인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보호 컨트롤타워로서 개인정보 실효적 보호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제도를 뒷받침하는 기술개발과 보급·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내년도 개인정보보호 기술개발 예산으로 30억원을 신규 확보했고 앞으로도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 균형을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ong@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