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이 무서운 이유는 방역대책보다 빠른 신종의 출연

메르스 이후 방역체계 전면개편 노력에도 붉은개미 유입 등 아직은 취약

기사승인 2017-11-17 00:02:00
- + 인쇄
감염병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방역대책 보다 신종감염병의 출현이 더욱 빨라져 감염병 대처를 어렵게 하고 있다.

기후변화, 항생제 사용, 국제교류 증가, 새로운 병원체의 출현, 기존 병원체의 진화 등은 각국이 감염병 대책을 마련하고 있음에도 대유행을 야기하고, 감염병에 대한 불안감을 야기하고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법정감염병 신고건수는 ▶1군 5077건(A형 감염 92%) ▶2군 7만2127건(수두 75%) ▶3군 5만8162건(결핵 53%) ▶4군 616건(뎅기열 51%) 등이다. 특히 2015년 메르스 등 급성 감염병으로 사망한 한국인은 130명(2015년 감염병 감시연보)에 달했다.

정부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 방역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특히 해외 유입 감염병 차단을 위해 전국 공·항만 검역소에서 감염병 유행지역 입국자에 대한 검역 및 해외 감염병 유행정보를 상시 입수·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최근 붉은 개미가 국내에 유입되는 등 사람 이외의 방역에는 아직 취약함을 드러냈다.

감염병이 무서운 가장 큰 이유는 난치 감염병의 존재와 새로운 감염병의 출현으로 예측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감염병이 무서운 이유는 방역대책보다 빠른 신종의 출연최근 열린 감염병연구포럼에서 발표된 감염병 R&D 현황을 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총 투자액은 7930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감염병 방역 책임기관인 질병관리본부 예산은 해양수산부(356억원) 보다 조금 높고, 교육부(523억원)보다 낮은 399억원(총 투자액의 5%)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국내 감염병 R&D 투자 현황을 보면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부처는 미래창조과학부로 5년간 2531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체의 3분의 1이 넘는 금액이다. 이어 보건복지부 1773억원, 농림축산식품부 1194억원, 산업통상자원부 574억원 순이었다. 

또 같은 기간 감염병 연구에 특화된 사업의 투자 금액은 약 2786억원으로 전체 감염병 R&D투자의 35.1% 수준이었다. 특히 국내 방역활동별 감염병 R&D 투자현황을 보면 5년간 치료제 개발, 기초·기전연구, 백신개발 관련 투자가 다수를 차지했고, 메르스 사태 당시 미흡한 것으로 질타를 받았던 방역·방제, 감시조사 및 예측, 정책·지침개발 및 정보전달 관련 투자는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감염병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방역체계의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위해 관련부처가 참여하는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사업’(2018~2022년)을 준비 중이다. 방역연계 감염병 R&D사업에서는 기존의 질병극복에서 방역활동을 위한 기술개발을 통해 국가 방역체계 고도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내용도 ▶국내외 감염병 현황 감시 및 발생예측, 전략물자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한 감염병 사전대비 능력 향상연구 ▶감염병 현장의 방역·방제, 감염여부 진단 및 역할조사능력 강화 연구 ▶감염병 ‘예방-대비-대응-복구’ 일련의 과정에서 대국민 체계적 위기소통 시스템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를 중점 추진분야로 정했다.

감염병에 대한 국제공조도 이뤄지고 있다. 한중일 3국은 2007년부터 감염병예방관리포럼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공동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올해 포럼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A(H7N9),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뎅기열 등에 대한 대응체계를 비롯해 신종감염병 발생 시 정보공유와 자국 감염병 환자가 타국에서 발견됐을 때의 조사 등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하지만 2009년 국내에서 신종플루 유행당시 150만명으로 추정되는 환자를 발생했고, 2015년 메르스 때도 국내 의료환경의 취약함을 드러낸 만큼 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