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보고 조작’·‘경찰 비하’…지방선거 실타래 엉키는 한국당

기사승인 2018-03-29 11:30:06
- + 인쇄

자유한국당이 세월호 보고 조작과 경찰 비하 논란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오는 6월 지방선거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당은 28일 박근혜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세월호 참사 당일 보고 시간을 조작했다는 검찰의 발표 관련 논평을 내놨다. 홍지만 한국당 대변인은 “세월호 7시간 의혹에 실체가 없다고 발표한 것”이라며 “7시간을 두고 난무했던 주장들 가운데 사실로 드러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당시 구조 골든타임이 지난 뒤에야 참사를 알게 된 것뿐”이며 “단지 별다른 행동을 하지 않은 것”이라고 일축했다. 

정치권과 시민 등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을 밝히라고 요구했던 것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홍 대변인은 “현재 야당뿐 아니라 시민단체, 소위 좌파언론을 포함해 7시간 부역자는 모조리 반성해야 한다”며 “세월호 7시간을 원망하며 촛불을 들었던 사람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같은 날 박근혜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세월호 참사 당일 보고 시간을 조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박근혜 정부는 박 전 대통령이 당일 오전 10시 첫 서면보고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오전 10시22분에서야 침실에서 나와 첫 전화 지시를 내린 것으로 드러났다. 박 전 대통령이 ‘비선실세’ 최순실씨를 관저로 불러 대책 회의를 한 정황도 포착됐다. 4년 동안 당일 행적에 대해 거짓말을 한 박 전 대통령과 측근들에 대한 비판이 일었다. 

온라인에서는 여론과 다른 지적을 내놓은 한국당에 대한 성토가 나왔다. 네티즌들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한국당의 논평은 좌우 이념을 떠나 사람이라면 할 수 없는 말이다” “문제의 본질을 모르고 있다. 직무유기 하고 잔 건 괜찮다는 이야기냐”라는 글을 게재했다. 

‘세월호 보고 조작’·‘경찰 비하’…지방선거 실타래 엉키는 한국당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자유한국당의 강제해산을 청원한다’는 의견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한 네티즌은 “골든타임까지 놓쳐가며 침실에 있던 박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뉘앙스,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에게 대못 박는 발언, 촛불혁명을 불법 집회로 모는 모습 등 대한민국 정당으로서 할 수 없는 발언들을 매일 쏟아내고 있다”며 한국당의 강제 해산을 청원했다.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장제원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지난 22일 논평에서 경찰을 ‘미친개’로 비하했다. 울산경찰청이 한국당 울산시장 후보인 김기현 현 시장 동생의 비리를 포착, 울산시청을 압수수색한 것을 비난하며 나온 발언이다. 이에 경찰은 한국당을 비판하는 피켓을 들고 ‘인증샷’을 찍어 대응했다. 역풍을 맞은 장 원내대변인은 “경찰 전체를 대상으로 한 논평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사과했다. 다만 경찰의 마음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당이 지속적으로 구설에 오르며 지방선거 수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당은 인물난을 겪으며 고전하고 있다. 지지율 또한 10~20% 사이에서 정체돼 있다. ‘텃밭’이라 불린 대구에서 더불어민주당(민주당)과 지지율 동률을 이루기도 했다. 27일 쿠키뉴스의 의뢰로 여론조사업체 조원씨앤아이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거주 성인남녀를 조사, 발표한 여론조사에 결과에 따르면 한국당의 지지율은 35.4%였다. 민주당 35.4%, 바른미래당 9.7%, 정의당 2.2%, 민주평화당 0.9%, 기타 4%, 없음 10.5%, 잘 모름 2%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거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유선전화58%+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42%, RDD 방식,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무작위추출)를 실시한 결과다. 표본수는 803명(총 통화시도 2만193명, 응답률 4.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5%p)이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오차보정방법 : [림가중]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2018년 2월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