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우즈베키스탄, 에너지·인프라·5G·보건의료 협력 강화…관계 격상

기사승인 2019-04-20 14:28:21
- + 인쇄

한국·우즈베키스탄, 에너지·인프라·5G·보건의료 협력 강화…관계 격상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우즈베키스탄의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을 국빈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우즈베키스탄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날 양 정상은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단계 높여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현재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인도, 인도네시아, UAE 세 나라에 불과하다.  

그러면서 양 정상은 에너지, 인프라, 5G, 보건의료, 교육 등 국민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는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가 만날 때마다 10억 달러씩 교역규모가 늘어나는 것을 꿈꾸고 있다”라며 에너지, 인프라, 교육, 의료 등 다방면에서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하길 원한다고 적극적인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 플랜트, 발전소, 병원, 교통‧인프라, 교육시설 등 120억 달러 수준의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또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경제특구를 준비 중인데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한국의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모델로 삼고 싶다”며 한국의 협력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간 협력 강화에 동의하면서 한-우즈베키스탄 FTA와 방산분야의 협력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18 양국 교역액은 수교 이래 최대치인 21억불을 기록했다. 하지만 수출과 수입액 차이가 상당하다. 앞으로 호혜적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한-우즈베키스탄 FTA가 추진된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며 "방산 분야에서 양국은 최고의 협력단계에 와 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 무인기 도입 추진 중이라 알고 있다”며 관심을 당부했다. 

아울러 문 대 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는 고려인에 대한 당부도 남겼다. 

문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에는 고려인 18만 명이 살고 있다. 하지만 그 가운데 약 1000명이 무국적자로 거주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살 때는 문제가 없지만, 해외 나갈 때는 비자 발급 문제 등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관심을 부탁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