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실 기업 231곳, 고금리·경기부진 영향에 최대 규모

기사승인 2023-12-18 13:22:35
- + 인쇄
올해 부실 기업 231곳, 고금리·경기부진 영향에 최대 규모
금융감독원 제공

고금리와 경기부진에 올해 부실 위험에 빠진 국내 기업이 231개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3578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 결과 올해 부실징후기업이 231개사로 파악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보다 46개사 늘어난 것으로, 10년만에 최대 규모다. 

부실징후기업은 외부의 자금 지원이나 별도의 차입 없이는 빌린 돈을 상환하기 어려운 기업을 말한다. 채권은행은 부실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A~D등급으로 평가한 뒤 C·D등급을 부실징후기업으로 구분한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 기업이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사, 12개사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9개사, 중소기업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늘어났다. 

구체적으로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에서 많은 부싱징후기업이 나왔다. 특히 올해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업(+7개), 도매·상품중개업(+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부실징후기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경기부진 속에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됐고, 올해 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부실징후기업의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총2조7000억원 수준이며,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을 대상으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하고, 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 지원에 나서겠다”며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산업부·중기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추천하고 공동 금융지원에 나설 것”이러고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