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호감도 2년 연속 긍정…“국제경쟁 기여·일자리창출”

기사승인 2024-05-23 10:11:01
- + 인쇄
국내 기업 호감도 2년 연속 긍정…“국제경쟁 기여·일자리창출”
2024년 지표별 기업 호감지수. 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기업에 대한 국민 호감도가 2년 연속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경제 기여’와 ‘일자리 창출’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알려주는 ‘기업호감지수’ 조사 결과 53.7점을 기록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지난해(55.9점)보다는 다소 낮아졌으나, 2년 연속 호감 기준선인 50점을 넘겼다.

기업호감지수는 국민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나타낸다. 국제 경쟁력, 생산성, 국제경제 기여, 사회공헌, 윤리경영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출한다. 올해는 기업문화, 친환경 등 2개 지표를 추가했다.

점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에 가까울수록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기준점 50을 넘으면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국민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지수인 ‘전반적 호감도’가 지난해 52.6점에서 올해 54.1점으로 상승했다.

국내 기업 호감도 2년 연속 긍정…“국제경쟁 기여·일자리창출”
기업에 대한 호감·비호감 이유. 대한상공회의소

지난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국제 경쟁력’은 73.9점에서 올해 58.5점으로, 생산성·기술향상 지표는 73.3점에서 올해 63.9점으로 각각 하락했다. 대내외적인 경제 불안,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난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윤리경영 실현은 36.5점에서 40.9점으로 4.4점 상승했다. 기업의 사회적 노력이 과거와 비교해 개선된 것으로 인식됐다는 설명이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국가 경제에 기여’라는 응답이 43.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26.5%), ‘기업문화 개선에 대한 노력’(10.3%),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9.7%) 순이었다.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준법·윤리경영 미흡’(42.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기업문화 개선 노력 부족’(23.3%), ‘사회공헌 미흡’(10.7%) ,‘고용 부진’(9.7%) 순이었다.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선도 기업에 대해 느끼는 전반적 호감도는 57.5점을 기록해 국내 기업(54.1점)보다 높았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선도 기업에 비해 부족한 점(복수응답)으로는 ‘준법 및 윤리경영 미흡’(38.9%)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후진적 기업 문화’(35.9%), ‘도전정신, 기술 투자 등 기업가정신 미흡’(35.7%), ‘국가 경제에 기여 부족’(32.7%), ‘지역사회 공헌활동 미흡’(29.4%) 등도 뒤를 이었다.

기업이 각종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수적이다’(58.6%)라는 의견이 ‘기업 본연의 역할이 우선이다’(41.4%)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기업에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경제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40.6%)이, 사회적으로는 ‘근로자 복지 향상’(33.5%)이 각각 가장 높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올해는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도가 상승했음에도 국제 경쟁력, 생산성 등 지표 하락으로 전체적인 지수가 소폭 낮아졌다”며 “기업에 대한 인식을 결정짓는 데 있어 경제적 역할과 성과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