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가 책임지겠다 했지만, 치매안심병원 전국 4곳뿐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 “조기에 개입해 치료 유지하면 비용 면에서 효과적”

기사승인 2021-05-25 18:43:41
- + 인쇄
‘치매’ 국가가 책임지겠다 했지만, 치매안심병원 전국 4곳뿐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12층 백원에서 열린 '치매안심병원 강화 및 정책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2021.05.25 박태현 기자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문재인 정부 들어서면서 치매를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했지만, 정작 치매안심병원은 4곳에 불과해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치매안심병원이란 민간의료기관에서 관리하기 힘든 폭력, 망상 등 행동 심리 증상(BPSD)을 보이는 환자를 전문인력이 약물·비약물치료를 집중적으로 해 최대한 빠른 기간 내 퇴원시켜 지역사회로 돌려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기관이다. 다양한 인지치료프로그램 등을 시행하고, 퇴원 후 연계돼야 할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조사·의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12층 백원홀에서 열린 ‘치매안심병원 강화 및 치매 정책 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치매국가책임제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치매안심병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이사는 “치매 환자는 조기에 개입해 치료를 유지하면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라면서 “치매의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요양시설 입소, 합병증 증가로 인한 의료비, 간병비용 증가로 관리비용이 급증하게 된다. 정부의 치매 관리비용의 증가를 늦추고 환자와 보호자가 함께 지역사회에서 살기 위해선 치매안심병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 전국에 치매안심병원은 ▲경북도립 안동병원 ▲경북도립 김천병원 ▲대전1시립병원 ▲경북도립 경산병원 등 4군데만 지정돼 있다. 최 이사는 “치매안심병원 설치에 따른 수가 보상체계 미흡, 중증 치매 환자 돌봄 부담 가중과 함께 전문가와 정책당국이 모두 경험이 부족한 새로운 형태의 정책이기 때문에 설치가 늦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늘리기 위해 최 이사는 ▲적극적인 보상체계 ▲운영시스템 기준 논의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국공립요양병원도 정부에서 100% 지원해주지 않아 수익을 내야 하는 구조다. 의무는 많고 권리는 없다. 빠른 확대를 원하면 조속히 과감한 보상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또 치매안심병원의 목표가 분명하지 않으면 중증 치매 환자의 수용소에 그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치매안심병원의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 광역치매센터의 역할도 중요하다”며 “각 지역 센터장은 지역 내 최고 수준의 치매 전문가다.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 광역치매센터와의 연계도 필요하다. 이외에도 공립요양병원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할 때 공공병원 중심의 정책은 한계가 있다. 수도권과 대도시에 많이 거주하는 치매환자를 위한 의료기관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순히 치매안심병원을 늘리는 것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 이사는 “치매는 전문성이 중요한 질환이다”라면서 “요양병원과 같이 모시는 게 아니다. 인력과 시설에 대한 기준을 맞추고 설립목적도 고려해야 한다.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정부가 지난 2월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사도 치매안심병원을 설립할 수 있게끔 했지만, 문제가 있다. 한의사라서 문제라는 것이 아니다. 전문시설에 한의사만 있을 때 치매 환자 관리가 될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이다. 단순 밥그릇 싸움이 아니다. 환자 관리를 하는 데 양보할 수 없는 문제였다”고 밝혔다.

치매안심병원의 올바른 확대를 위해 최 이사는 제도 안착을 위한 전문가 그룹의 참여, 연구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한치매학회 차원에서 노력하겠다. 보건복지부와 여러 학회 등과 협의체를 갖춰 논의의 장을 만들겠다”면서 “예산도 중요하지만, 데이터도 필요하다. 학회, 광역치매센터 등에서 연구할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 정부에서 지원해준다면 쉽게 해결될 과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nswreal@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