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천 의원, ‘사장(死藏)위기’ 국내 원자력기술 수출 대안 제시!

입력 2017-11-07 15:25:28
- + 인쇄


정운천 의원, ‘사장(死藏)위기’ 국내 원자력기술  수출 대안 제시!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18년 예산안 종합정책 질의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천지 1‧2호기가 추진된 경북 영덕을 차세대 원전 수출 전략지구로 지정하고 중단된 천지 1‧2호기 건설을 재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원전 APR 1400보다 더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지닌 차세대 원전 APR+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산업부를 비롯한 정부가 총력을 다 해야 한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특히 정운천 의원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와 맞물려 국내 순수기술로 개발된 차세대 원전 기술이 사장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이에 경상북도 영덕 천지1·2호기에 차세대 원전 수출 전략지구 지정 등 대안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차세대 3.5세대 원전으로 평가받고 있는 APR+는 지난 2007년부터 2015년간 총 2,357억 원이 투입돼 국내 순수 기술로 개발됐으며, 당초 제7차 전력수급 계획에 따라 경북 영덕 천지 1‧2호기 원전에 반영키로 계획돼 있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지난 10월 24일, 국무회의를 통해 에너지전환 로드맵 발표를 통해 신규원전 백지화를 결정함에 따라 천지 1‧2호기 추진은 최종적으로 중단된 상태다.

이에 정운천 의원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448기이며, 건설 중인 원전은 59기, ‘발주되거나 계획이 잡힌 원전 160기, 검토 중인 원전이 378기(세계원자력협회 ‘17.7)”로 “현재 가동 중인 원전 448기보다 더 많은 597기가 추진되고 있어, 탈원전이 세계적인 추세라는 정부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언급하며, “원전 한 기당 5조원의 건설비용 소요되고 있어, 총 3,000조의 어마 어마한 시장”이 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세계 3대 원전 사고가 발생한, 미국, 러시아, 일본도 모두 원전을 재 가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 정부만 모르고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순수 기술로 개발해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APR+ 원전은 기존 APR1400 원전에 비해 안전성 10배 증가, 제어방식 수동에서 디지털, 건설기간 52개월에서 36개월로 단축됐고, 원전이 완전 정지 시 대처 시간도 8시간에서 3일 이상으로 증가됐다.”고 밝히며, “더 높은 수준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있는 만큼 세계 원전 시장을 제패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낙연 국무총리는 “원전해체 연구소를 동남권에 설립하는 과정에 정운천 의원이 제안한 차세대 원전 수출 전략지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의원은 “세계 시장을 제패할 수 있는 원전 기술을 보유한 대한민국이 국내에서는 탈원전을 주장한다면 과연 누가 우리 원전을 사줄지 의문”이라고 말하며, “문재인 정부는 조속히 경북 영덕을 차세대 원전 수출 전략지구로 지정하고 중단된 천지 1‧2호기 건설을 재 추진해 원전 수출 시장에 적극 나서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전주=유승호 기자 a2396b@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