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컴퓨터 없이도 데이터 처리하는 '도커SSD' 개발

기존 스토리지 내부 데이터 처리 모델보다 2배 빠르고 2배 에너지 효율

입력 2023-11-27 10:15:17
- + 인쇄
카이스트,  컴퓨터 없이도 데이터 처리하는 '도커SSD' 개발
카이스트 연구팀이 개발한 도커 SSD의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카이스트

카이스트,  컴퓨터 없이도 데이터 처리하는 '도커SSD' 개발
 카이스 전기및전자공학부 권미령 박사, 정명수 교수, 국동현 박사과정, 배한여름 박사과정.(왼쪽부터) 카이스트

컴퓨터 없이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독립 서버로 운영이 가능해지며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데이터의 탄소 배출량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SSD가 개발됐다.

카이스트는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정명수 교수 연구팀(컴퓨터 아키텍처 및 메모리 시스템 연구실)이 물리적 장치의 실행이 아닌 가상으로 데이터 처리와 운영이 되는 '도커(Docker)'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고성능·저전력 메모리 (PIM, Processing-In-Memory) 모델 중 하나인 '도커SSD'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스마트 SSD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데이터가 실제 존재하는 스토리지 근처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터 이동에 불필요한 에너지 및 전력 소모를 줄이고 고성능 결과를 얻게 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도커SSD는 가상화 운영체제 환경인도커를 스토리지 내부에서 실행할 수 있는 특허 기술을 적용해 호스트로부터 요청받은 컨테이너 단위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했다. 이 결과 사용자들은 메모리.스토리지 제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스토리지 내부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외부와 독립적인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컨테이너의 특성 덕분에 사용자들이 기존 응용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수정할 필요조차 없어져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연구팀은 도커SSD에 적용한 운영체제 수준 가상화의 실효성 검증을 통해 현재 학계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스토리지 기반 모델보다도 데이터를 2배 빠르게 처리하면서 전력 소모 또한 약 2배 감소됨을 확인했다. 

정명수 교수는 "고성능·저전력 메모리 모델인 도커SSD는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국내·외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기관에 실용화되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오는 2024년 3월에 열릴 컴퓨터 구조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국제 고성능 컴퓨터 구조 학회'에 관련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대전=이익훈 기자 emadang@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