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민영은행 위해 달려온 10년…올해는 가능할까

기사승인 2019-01-15 03:00:00
- + 인쇄

완전 민영은행 위해 달려온 10년…올해는 가능할까지주사 출범에 이어 우리은행 완전 민영화에 관심이 모인다. 지난 2016년 은행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방식이 통했다. 당시 한국투자증권 등 7곳이 지분을 일부 나눠가졌다. 이를 두고 ‘반쪽짜리’ 혹은 ‘완전 민영화 초석’ 등으로 반응이 엇갈렸다. 

현재 남은 지분은 18.4%다. 대주주는 정부(예금보험공사)다. 정부도 자율성 제고를 위해 지분매각을 서두른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 완전민영화 꿈이 연내 실현될지 주목된다. 

◇ ‘4전 5기’ 지분 매각 성공

우리은행 매각은 10년이라는 세월을 거슬러 올라간다. 매각방식도 그간 여러 차례 바뀌었다. 

우리금융은 지난 2010년 민영화를 향한 첫걸음을 뗐다. 그해 11월 1차 매각공고가 났다. 매각은 병행방식으로 추진됐다. 그러나 우리금융 컨소시엄이 입찰을 포기하면서 재동이 걸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우리금융 민영화 중단을 선언했다. 

2011년 5월 우리금융 2차 매각 공고가 났다. 방식은 일괄매각(블록세일)방식이었다. 그러나 유효경쟁 미달로 또다시 중단 사태를 빚었다. 이듬해 열린 세 번째 시도도 무산됐다. 예비입찰 신청자가 없었다. KB금융지주는 당시 우리금융 인수전 불참을 선언하기도 했다.

공자위는 2013년 6월 4차 매각방안을 발표했다.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30%)과 소수 지분(26.97%)으로 분리하는 게 골자였다. 하지만 유효경쟁 미달로 불발에 그쳤다. 3년 뒤 정부가 우리은행 매각을 재추진 했다. 이 때 사용한 카드는 지분을 4.0~8.0%로 쪼개 파는 과점주주 방식이었다. 

과점주주 방식이 시장을 움직였다. 예비입찰에 18곳이 참여했다. 최종적으로 7곳(한국투자증권·키움증권·동양생명·한화생명·유진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IMM PE)이 우리은행 주주(29.7%)가 됐다. 하지만 부분 매각이었기 때문에 ‘반쪽짜리’ 지적이 나왔다. 그러면서 우리은행이 정부 입김에서 자유로우려면 나머지 지분도 빨리 처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 잔여지분 매각 과제…손태승 회장, 뒷심 발휘할까

우리은행 민영화 주역은 이광구 전 행장이다. 하지만 그는 완전 민영화를 달성하지 못했다. 손태승 지주회장 겸 우리은행장이 바통을 이어 받았다. 지주사 출범을 성공시킨 손 회장이 지분 매각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다만 그는 시기와 방법에 관해서는 말을 아꼈다. 전적으로 정부에 맡긴다는 입장이다.

손 회장은 14일 간담회를 열고 “매각 객체여서 정부와 공자위가 결정할 것”이라며 “공자위와 관련 기관이 최대한 빨리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생각 한다”라고만 답했다. 

정부도 우리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지분매각을 서두르려는 모양새다. 금융권에 따르면 회수를 앞둔 공적자금은 약 2조원이다. 정부도 우리금융 출범 이후부터 지분 매각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4일 우리금융 출범식 행사에 참석해 “지분 매각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위성백 예보 사장도 축사 말미에 “완전한 민영화를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언급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