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집단 휴학 현실화...정부 “의료 개혁 늦출 수 없어”

기사승인 2024-02-18 19:42:54
- + 인쇄
의대생 집단 휴학 현실화...정부 “의료 개혁 늦출 수 없어”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의사들이 길을 건너고 있다. 쿠키뉴스DB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에 반발해 원광대 의과대학 학생 160여명이 휴학을 신청했다. 전국 40개 의대생은 20일 집단으로 휴학계를 제출한다는 입장이다.

18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가운데 원광대 학생들이 17일 처음으로 집단 휴학계를 제출했다. 원광대 의대생들의 휴학계는 아직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학칙상 휴학에 필요한 서류와 절차가 준수되지 않은 영향이다. 

앞서 40개 의대 학생 대표로 구성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6일 비상대책위원회 임시총회를 열고 20일을 기점으로 동맹휴학 및 이에 준하는 행동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의대협이 15~16일 전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90% 이상이 휴학에 찬성한 결과다. 의대협은 이와 관련해 “전체 의대생을 대상으로 현안 인식과 동맹휴학 참여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 뒤 최종 의결을 거쳐 동맹휴학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여기에 현직 의사들도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 소위 ‘빅5’라고 불리는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은 오는 19일까지 전원 사직서를 제출하고, 오는 20일 오전 6시를 기해 근무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정부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6시까지 23개 수련병원 715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냈다. 이들 중 실제로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전공의 103명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상태다.

정부는 의사와 의대생의 집단행동에 높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를 통해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삼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며 “실제 행동으로 이어져 의료공백이 벌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고 자제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 개혁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절대적인 의사 수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의료 개혁은 절대 성공할 수 없다. 의대 정원 확대는 더 늦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의대 정원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교육의 질을 확실히 보장하겠다”며 “2천명이라는 증원 규모는 정부가 독단적으로 정한 것이 아니라,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대학들이 함께 장기간 신중하게 논의한 결과”라고 밝혔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