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빚투 열풍, MZ세대에 필요한 대안은

기사승인 2021-07-09 06:00:29
- + 인쇄
[기자수첩] 빚투 열풍, MZ세대에 필요한 대안은
[쿠키뉴스] 유수환 기자 = 최근 ‘벼락거지’라는 신조어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고 있다. 과거 ‘헬조선’과 비슷한 뉘앙스의 단어로 ‘벼락부자’의 반대 격인 표현이다. 즉 최근 기성세대가 보유한 자산(주식 및 부동산)이 크게 상승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자신의 소득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을 자조적으로 쓰는 의미다. 

2030세대로 분류되는 청년들은 현재 부모 세대에 비해 가난한 첫 번째 새대로 불린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자산 증식에 대한 젊은층의 관심이 어느 세대 보다 높다. 실제 얼마 전 설문조사에서 2030세대가 가장 관심 있는 콘텐츠 분야는 다름아닌 재테크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이상 회사 월급만으로는 ‘사다리 올라타기(계급상승)’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말 그대로 최근 MZ세대의 분위기는 ‘각자도생’이다. 더 이상 재테크는 기성세대의 전유물이 아니다. 청년세대의 레버리지 투자(빚내서 투자)는 안정적 자산마련에 대한 욕망을 여실하게 드러낸다.

하지만 부작용도 곳곳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은행이 MZ세대에 빌려준 가계대출 규모는 올 3월말 현재 총 259조6000억원으로 지난 1년간 44조7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총 가계대출 증가분 중 MZ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과반수(45.5%)에 가깝다. 

올해 4월 기준 국내 4대 가상자산거래소(빗썸, 업비트, 코빗, 코인원)의 가입자(581명) 가운데 약 60%가 MZ세대다. 

이러한 재테크 광풍은 현존하는 국가 시스템에서 자신의 노후(미래)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불안감에서 나온 것이다. 얼마 전 청와대 청원게시판에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던 한 30대 청년은 “40∼50대는 부동산 상승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타 쉽게 돈을 불리고는 이제 20∼30대들이 기회조차 잡지 못하도록 규제를 쏟아내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감정적인 발언이지만 기회의 불공정을 언급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수많은 이들이 ‘전세난민’으로 전락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평당 1000만원을 웃돌면서 젊은 세대의 ‘내집 마련’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같은 직장에 다녀도 전세를 살았느냐 자기 집을 보유했느냐에 따라 향후 재산 증식은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이른바 부동산 계급사회가 된 것이다. 어디에 사느냐 혹은 어떤 브랜드 아파트를 보유했느냐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달라진다.

다만 이러한 사회적 모순은 특정 세대의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것은 대안이 될 수 없다. 한국 사회의 양극화 문제는 계급과 소득에 따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계급은 세습을 통해 이뤄지며 그 격차는 더욱 커져만 간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공정’으로 포장된 시장주의가 대안이 될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지향하는 것은 국가제도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다. 최근 코로나19 사태 여파 이후 ‘기본소득’ 혹은 ‘보편적 복지’에 대한 논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미 대선주자 사이에서도 기본소득에 대한 찬반양론이 일어나고 있다. 기본소득은 기존의 보편적 복지와는 차이가 있으나 사회적 공공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논쟁은 ‘포용적 복지국가’ 구축 더 나아가 한때 금기시 뙜던 사회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도 기대해 본다. 개인의 재테크도 좋지만 사회적 공공성을 위한 우리 사회의 투자도 필요한 시점이다.

shwan9@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