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 3월 밤하늘 ‘금성과 목성’, ‘달과 금성’ 한 눈에

기사승인 2023-03-03 07:20:45
- + 인쇄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2일 저녁 신비한 우주드라마를 관찰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 위치한 수어장대에 올랐다. 저녁 7시 반경 수어장대 처마 뒤로 금성과 목성이 나란히 관측되었다. 오른쪽 위 밝게 보이는 별이 금성(샛별)이고 아래 보이는 별이 목성이다.

- 목성과 금성 7년 만에 만나고
- 24일에는 초승달과 금성이 거의 붙듯이 접근

서산으로 해가 넘어가고 짙푸른 서쪽 하늘, 두 별이 반짝이며 모습을 드러냈다.
“금성과 목성”이다.
2일 저녁 서울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 위치한 수어장대에서 두 행성의 만남을 카메라에 담았다. 금성과 목성은 저녁 7시 경부터 어둑어둑해진 초저녁 하늘에 마치 남매별처럼 붙은 듯 접근해 밤하늘에서 함께 빛났다.

목성의 원반은 금성보다 거의 3배 더 넓게 보이지만, 금성에 비해 밝기는 5분의 1 밖에 안된다. 두 행성의 밝기 등급은 각각 -3.9와 -2.1이다. 두 행성을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면 목성의 4대 위성(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도 볼 수 있으며, 금성의 위상까지 확인 가능하다.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강동구에서 온 조유정 씨는 “서울 시내 야경을 보기 위해 남자 친구와 함께 남한산성에 올랐다“면서”잠실벌의 휘황찬란한 도시 야경보다 밤하늘 반짝이는 샛별(금성)과 목성이 함께 빛나는 것이 더 아름답다“고 말했다.

이틀 후 면접을 앞둔 취준생 황종호(29·서대문구)씨는 “방송사 면접을 앞두고 머리도 식힐 겸 사회복지사인 여자 친구와 남한산성을 찾았다가 보기 드문 천문현상을 봤다.”라며 “금성과 목성이 거의 밀착해 밝게 빛나는 것처럼 우리 사이도 더 가까워지고 취업도 순조롭게 될 것 같다“면서 환하게 웃었다.
두 별의 만남은 밤 9시까지 이어진 뒤 이후 고도가 낮아지며 지평선 아래로 사라졌다. 저녁 하늘에서, 금성과 목성이 이번만큼 가깝게 접근한 건 지난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이후 이번과 같이 하늘에서 두 행성이 가깝게 접근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건 2040년 9월에나 가능하다.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지난 몇 주 동안 가장 밝았던 두 행성인 금성과 목성이 거의 밀착하는 드라마가 밤하늘에 펼쳐졌다. 2일 저녁 금성과 목성은 보름달 크기인 0.5도까지 근접하여 육안으로 관측 시 두 행성이 거의 붙어 보인다.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두 행성 모두 약간 흔들리듯이 보이는 것은 고도가 낮아 대기의 굴절로 인한 것이다.

변용익 연세대 천문학과 교수는 “금성과 목성은 실제로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들인데 지구 모든 행성이 그렇지만 태양 주위를 돌다 보면 지구에서 볼 때는 한 방향이 겹쳐 보일 때가 있어요. 예전 선조들도 우리 태양계의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몰랐지만 하늘의 조화로운 현상들에 대해서 늘 주시하고 기록에 남겼다”면서 “오늘 같은 행성의 형태는 세계 어느 곳에서든 똑 같이 관찰된다. ”고 말했다.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지난 달 23일 강원도 인제 운이덕관측소에 촬영한 달과 목성, 금성 모습

오는 24일 저녁에는 목성대신 금성이 달과 함께 우주 쇼를 펼친다.
이날 밤 9시 무렵, 내륙에서는 금성이 초승달 오른쪽 옆으로 마치 스치듯이 지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금성이 달 뒤로 숨었다 나타나는 ‘엄폐현상’으로 나타난다. 금성이 달 뒤로 숨었다 나타날 정도로 가까이 접근하는 현상은 13년 뒤인 2036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초 접근 ‘금성·목성’ 우주쇼 펼쳐
수어장대에서 본 서울 야경, 왼쪽 하늘 위에 점처럼 보이는 두 별이 금성과 목성이다.

경기도 광주=글‧사진 곽경근 대기자 kkkwak7@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