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들 “코로나19 이후 존폐 걱정… 환자도 의사도 떠났다”

기사승인 2023-11-10 15:35:39
- + 인쇄
지방의료원들 “코로나19 이후 존폐 걱정… 환자도 의사도 떠났다”
코로나19 검사 모습.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사진=임형택 기자

지방의료원들이 재정 지원과 의사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감염병 전담병원 해제 이후 적자가 회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10일 35개 지방의료원장 공동 명의의 호소문을 전날 ‘공공보건의료CEO 포럼’에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코로나19 엔데믹이 선언됐지만,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헌신한 지방의료원들은 존폐를 고민해야 하는 참담한 현실을 맞았다”고 호소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이들 지방의료원의 병상 이용률은 평균 49.5%다. 코로나19 이전(80.9%)에 비하면 30%p 넘게 줄어든 수준이다.

연합회는 “현재는 손실보상금 잔액으로 겨우 급여를 지급하는 실정”이라며 “코로나19 대응 기간에 일반 진료를 거의 하지 못해 떠나간 단골 환자들은 돌아오지 않고, 의사를 포함한 많은 의료 인력이 이탈해 경영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부터는 대부분 지방의료원들이 임금 체불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일부 의료원에서는 실질적으로 임금을 지급할 수 없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다”면서 “정부는 정확한 추계를 통해 지방의료원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재정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2024년도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지방의료원이 필수 진료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의사 인력 확충 방안을 강력히 추진해달라”며 “지방의료원의 의료 인력 수급 문제는 공공병원 적자와 지역 의료서비스 미충족의 구조적 문제이므로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회는 “부족한 의사 인력 문제를 해결하도록 공공임상교수제 시범사업이 정규사업이 되도록 법제화해야 한다”며 “전공의 공동수련제도의 병행 추진을 통해 공공의료 분야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