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6월 임시국회 개원과 함께 김형오 국회의장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디어관련법과 비정규직법 등 쟁점법안을 둘러싼 여야의 격한 충돌이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쟁점 법안들을 통과시키겠다는 입장을 이미 여러 차례 천명했다. 반면 민주당은 당내 강경파들을 중심으로 국회 본회의장 앞 중앙홀을 점거했고, 민노당 창조한국당 진보신당과 함께 한나라당의 단독국회 추진을 강력히 규탄하고 나섰다.
김 의장은 26일 성명을 통해 “국회 본회의장 점거는 어떤 경우에도 용납하지 않겠다”면서 조속한 국회 정상화를 촉구했다. 또 논란의 핵심인 미디어법 처리 문제에 대해,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문제가 또 다시 거론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라며 “여야가 합의한 대로 국회법 절차에 따라 해당 상임위를 거쳐 처리하되 본회의 의결 전 충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야가 미디어법 합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사실상 6월 임시국회의 향방은 미디어법을 어떻게 처리할 지 고심중인 김 의장의 선택에 좌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장실 관계자는 “김 의장은 미디어발전위가 100일 동안 미디어법 여론을 수렴했고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이 직권상정을 할 수 있는 명분은 충분하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의장님이 특히 본회의장 폭력적으로 점거하거나 의사진행을 방해하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말해 야당의 점거 시도에는 강하게 대응할 것임을 시사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뭔데 그래◀ 검찰의 PD수첩 작가 이메일 공개 어떻게 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