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미디어법 관련 발언이 여야의 대치 정국을 해소할 돌파구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전 대표가 미디어법 여야 합의 처리를 촉구하며 제시했던 절충안 중 일부를 한나라당이 수용하는 등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야는 박 전대표의 제안을 아전인수 식으로 해석하며 힘겨루기를 계속했다.
야당은 합의 처리에 방점을 찍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미디어법 문제를) 합의 처리해야 한다는 (박 전 대표의) 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국회 문방위 소속 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도 "한나라당은 더 이상 직권상정 운운하지 말고 진정성을 갖고 대화하자"고 압박했다.
한나라당은 박 전대표의 중재안이 당론과 다르지 않다고 애써 강조했다. 한나라당 김정훈 원내수석부대표는 "박 전 대표가 언급한 것은 규제 완화를 통해 미디어법 개정을 하되, 여론 독과점 우려를 보완하자는 것"이라며 "당도 그런 입장으로 17일까지 민주당과 협상해서 합의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소속 문방위원들은 이날 오후 간담회를 열어 방송 합산 시장 점유율을 30%로 제한하는 내용을 미디어법 개정안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박 전 대표의 의견을 일부 반영한 셈이다.
친박 관계자는 "박 전 대표가 여야 합의 처리를 강조한 것은 결국 직권상정을 반대한 것이고, 시장점유율 제한은 특정 신문의 방송 진출이 가져올 과도한 여론 장악력에 우려를 표시한 것"이라며 "법안 처리 과정에 박 전 대표의 의중이 어떻게 반영될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뭔데 그래◀ 사랑이라는 이름의 구속…김연아 아이스쇼 파문, 어떻게 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