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관계자는 8일 “정운찬 카드가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변화라면 박 전 대표는 구시대적 정치인 이미지가 강하다”면서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정치인을 원하는 기류가 강해질 경우 박 전 대표에게 위기가 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어려운 시기마다 훈수 한마디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해온 박 전 대표의 역할을 두 사람이 대신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 관계자는 “새로운 총리와 당 대표가 이슈를 견인해가는 대안으로 떠올랐고, 박 전 대표는 기존 평범한 중재자로서 잊혀질 수 있다”며 “우리 내부에서도 현 상황이 위기라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밝혔다. 특히 친박측은 정 내정자가 대선을 앞두고 충청을 대표하는 카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점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
반면 양 정(鄭)의 등장이 박 전 대표에게 오히려 득이 될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동안 박 전 대표가 대통령과 각을 세우는 것처럼 비춰 부담이 됐는데, 정 내정자가 완충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두 사람 모두 대권 후보로써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는 부분도 친박측이 희망을 거는 부분이다. 수도권 친박 의원은 “대권주자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험난한 검증 과정을 딛고 일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