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한나라당 쇄신특위(위원장 원희룡 의원)는 3일 조기 전당대회를 통한 새로운 당 지도부 선출, 총리를 포함한 개각 단행, 국민공천배심원단제 도입 등 33개의 쇄신 과제를 최종 확정해 발표했다. 쇄신위는 이 쇄신방안을 당 지도부와 청와대에 전달했다.
그러나 쇄신위는 조기전당대회 개최 시점이나 현 정부의 인적쇄신 대상 등 핵심 쟁점에 대해서는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번 쇄신안은 지난 5월11일 쇄신위 출범 당시 근본적인 당·정·청 개혁을 요구했던 데서 많이 후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쇄신위는 조기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구성 요구와 관련, 전대 개최 시기는 명시하지 않았고 내년 1∼2월 전대 개최가 쇄신위 다수의견이었다고 밝혔다. 조기전대 시기를 놓고 논란의 소지를 남긴 셈이다. 당내 친박계와 보수성향 의원들은 조기전대 무용론 혹은 내년 1∼2월 전대론 의견이 우세하다. 그러나 민본21 등 당내 개혁·소장파는 지도부 용퇴와 9월 전대론을 지지하고 있다.
박희태 당 대표가 10월 재보궐선거에 출마할 경우 지난해 전대에서 2위로 당선된 정몽준 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할 지, 새로운 비상지도부를 구성할지도 논란거리다. 쇄신위 한 관계자는 “조기전대 등을 놓고 쇄신위 내 친이·친박 의원들의 입장이 차이가 워낙 커서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고 말했다.
국정쇄신안에는 중도실용의 국정운영 기조 회복을 원칙으로 서민정책, 국민통합, 소통강화 등을 주문했다. 그러나 이미 정부에서 서민 중심의 중도·실용 노선을 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런 요구는 다소 때늦은 감이 있다.
원 위원장은 “청와대의 국정기조 변화에 쇄신위의 요구가 상당부분이 반영되거나 실현된 것도 있다”고 의미부여했다. 공천제도 쇄신방안에는 ‘선거인단이나 여론조사 경선 중 한 가지 방법 선택’, ‘국회의원.기초단체장 후보자 심사시 국민공천배심원단제 도입’ 등의 내용이 담겼다. 또 계파·보스 정치 폐단을 막기 위해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이 대통령, 광역단체장 등의 공직후보자 경선캠프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키로 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와 청와대가 쇄신위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언급이 빠진 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원 위원장은 “당과 청와대가 전폭 수용하지 않는다면 저희는 모든 것을 건다고 이미 밝혔다”면서 “지도부는 물론 청와대가 쇄신안을 외면하지 않을 거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청와대는 “진정성을 갖고 당의 목소리를 경청할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뭔데 그래◀ 예비군 동원훈련 연장 적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