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유병언 버티기 전략으로 사법 시스템 전체를 적으로 돌렸다”

[세월호 침몰 참사] “유병언 버티기 전략으로 사법 시스템 전체를 적으로 돌렸다”

기사승인 2014-05-20 21:55:00
[쿠키 사회]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이 20일 막무가내 식 버티기에 나서며 대한민국 사법 시스템 전체를 적으로 돌렸다. 자존심이 구겨진 검찰이 공권력 확립 차원에서라도 조만간 강제구인 작전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유 전 회장이 어디 있는지 확신이 없는 데다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가 강경 대응하고 있어 고심이 깊다.

유 전 회장의 버티기는 ‘더 이상 잃을 게 없다’는 판단에서 나온 ‘벼랑 끝 전술’ 성격이 짙다. 표적수사를 주장하며 억울하게 탄압받고 있다는 여론전으로 검찰 수사에 흠집을 내겠다는 전략이다. 구원파 측은 그동안 “일부 강경파들이 순교도 불사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며 경고해 왔다. 검찰의 강제 진입 시 물리적 충돌이 불가피하다며 검찰의 부담을 키우는 전략으로 보인다. 구원파는 검찰의 강제진입에 대비해 금수원 내부에 바리케이드와 철조망까지 설치했다.

검찰도 유 전 회장의 불출석을 예상했지만 적잖이 당황하는 모습이다. 검찰은 인천지법에서 예정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이 불발되면서 구인장 유효기간인 22일까지 유 전 회장의 신병을 확보해야 할 부담을 안게 됐다. 검찰은 이미 기동대와 특공대 등 40개 중대, 4000여명 규모의 경찰 병력 지원도 요청한 상태다.

현재 취재진이 금수원 주변에 배치돼 검찰의 진입작전이 생중계될 가능성이 높다. 구원파 신도들과의 정면충돌로 자칫 불미스러운 사태가 발생할 경우 사태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 검찰은 현재 유 전 회장 일가의 은신처에 대한 확신이 없다. 장남 대균(44)씨가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인 지난달 19일 프랑스행 편도 항공권을 구입해 도주를 시도하려다 출국금지 조치로 실패했다는 사실을 파악했지만 이후 행적은 찾지 못했다. 구인장 집행을 미룰 경우 검찰이 법 집행을 주저하고 있다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검찰 관계자는 “내부 정보원 등을 통해 은신처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세청은 유 전 회장 일가의 부동산 압류절차에 나섰다. 서울서초세무서는 지난 16일 서울 염곡동 74의2(982㎡)와 90의9(360㎡), 90의2(363㎡) 등 일명 세모타운 부지와 건물 등 200억원 상당의 부동산 9곳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압류를 신청했다. 압류 대상에는 대균씨가 한국제약 김혜경(52) 대표로부터 사들인 건물 등도 포함됐다. 국세청은 유씨 일가의 숨겨진 부동산도 추적해 추가로 압류할 방침이다.

그러나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이 항로 면허 취소로 사실상 부도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선박보험금 등 압류를 통한 채권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KDB산업은행의 대출금 회수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산업은행이 청해진해운에 빌려준 돈은 단기차입금 69억4000만원과 장기차입금 100억원 등 원금만 170억원에 달한다. 이달까지 원리금으로 갚아야 할 돈은 44억3790만원이다.

인천=국민일보 쿠키뉴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전웅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