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協, 올 1분기 맛김·간장 등 22개 품목 가격 올라

소비자단체協, 올 1분기 맛김·간장 등 22개 품목 가격 올라

가격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평균 11.5%↑

기사승인 2025-04-17 13:37:34
전년 동기 대비 가격상승률 상위 8개 품목.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올해 1분기 생활필수품 22개 품목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상위 10개 품목 가격은 평균 11.5% 상승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매월 셋째 주 목·금요일 양일간 서울시 25개 구, 경기도 10개 행정구역 420개 유통업체에서 생활필수품 39개 품목, 82개 제품 가격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협의회에 따르면 39개 품목 중 가격 변동률 확인이 가능한 37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맛김을 포함한 22개 품목의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22개 품목의 평균 가격 상승률은 4.2%였다.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맛김으로, 20.4% 올랐다. 맛김의 올해 1분기 평균 가격은 5452원으로, 전년 동기(4528원) 대비 20.4% 올랐다. 맛김은 원재료인 김 생산량 감소와 해조류 수급 불안정으로 지난해 2분기부터 가격이 올랐다. 다만 물김 가격은 낮아져 마른 김 가격에 반영될 경우, 소비자가 인하로 이어지는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는 평가다. 맛김 뒤로는 △간장(10.1%) △커피믹스(7.9%) △고추장(6.2%) △케찹(5.9%) 등 순이었다.

올해 1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가격 상승률 상위 10개 제품.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가격 상승률 상위 10개 제품의 평균 상승률은 11.5%로 집계됐다. 지난해 가격 인상의 영향이 올해 1분기까지 지속됐다는 분석이다. 일부 제품은 10%를 초과하는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에는 19개 품목 가격이 올랐다. 평균 상승률은 1.6%였다. 18개 품목은 하락했다.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커피믹스(5.8%), 아이스크림(4.5%), 시리얼(3.0%), 마요네즈(2.0%), 햄(2.0%) 순이었다. 커피믹스는 동서식품과 남양유업의 출고가 인상이 올해 1분기 소비자 가격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협의회는 “베트남 이상기후와 물류비 상승으로 원두 가격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원두 가격 상승이 제조업체와 소비자에게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어, 향후 원두 시장의 가격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아이스크림은 월드콘(5.4%), 메로나(3.8%)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이 오르며 전 분기 대비 상승률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롯데웰푸드와 빙그레가 가격을 인상했고, 여름철을 앞두고 주요 아이스크림 제조업체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평가다.

하락률이 높은 제품은 두루마리화장지(-2.7%), 식용유(-2.5%), 두부(-1.8%), 맛살(-1.4%), 기저귀(-1.1%) 순이었다.

일부 제품은 리뉴얼 등으로 함량에 변동이 있었지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

코카-콜라사의 미닛메이드 오렌지 제품은 최근 2년간 두 차례에 걸친 리뉴얼로 동일 제품 간 가격 비교가 어려워졌다. 미닛메이드는 2023년 12월과 지난해 12월 두 차례 제품명을 변경하며 리뉴얼했다. 미닛메이드는 2023년 리뉴얼 당시 오렌지 과즙 82%를 51%로 줄였다. 이어 지난해에는 ‘미닛메이드 시그니처’로 리뉴얼해 오렌지 과즙 함량을 30%까지 낮췄다.

협의회는 “해당 리뉴얼 제품은 실질적으로 제품의 주원료 구성에 변동이 있었으나 소비자에게 이에 대한 충분한 고지나 명확한 안내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주 원재료의 함량이 기존과 크게 달라진 경우에는 리뉴얼된 제품과 기존 제품의 차이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충분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협의회는 올해도 물가 인상이 지속될 것을 우려하며 기업의 충분한 설명과 상생노력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일부 품목은 올해에도 추가적인 가격 인상이 이루어지는 등 생필품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환율·원재료 상승 등 가격 인상 요인이 있더라도, 기업은 소비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합리적인 수준의 가격 조정 등 상생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