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이틀째 ‘준법투쟁’…총파업 분수령

서울 시내버스 이틀째 ‘준법투쟁’…총파업 분수령

8일 전국자동차노조 회의서 총파업 여부 결정

기사승인 2025-05-08 09:56:07 업데이트 2025-05-08 16:14:06
서울 송파구 장지동 송파버스공영차고지에서 버스가 출발하고 있다. 곽경근 대기자

서울 시내버스노동조합이 7일부터 이틀째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지난달 30일 경고성 행동 이후 일주일 만이다. 현재까지 버스 운행에 큰 차질은 없지만 노조는 8일 총파업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투쟁은 통상임금 확대 적용 문제를 둘러싼 서울시, 사측과의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노조는 승객 안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 차량을 추월하지 않는 등의 방식으로 운행을 지연시키고 있다.

우려했던 출근길 혼란은 크지 않았다. 연휴 직후 대중교통 수요가 늘어난 상황에서도 시내버스 운행은 비교적 정상적으로 이뤄졌다고 서울시와 사측은 전했다. 다만 상황에 따라 향후 운행 차질 가능성은 남아 있다.

노조는 이날 오전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지역 대표자 회의를 통해 상급단체와 함께 향후 쟁의 수위를 논의하고 총파업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노조는 호소문을 통해 “자율주행, 수상버스 등 효용성 없는 사업에 예산을 낭비하기보다 시민의 실질적인 교통 편의를 위한 시내버스 증차에 집중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준법운행에 따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1~8호선 및 우이신설선에 총 47회 지하철을 추가 투입했다. 

시는 전날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이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자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경기, 제주, 창원 등 10곳의 광역·기초자치단체와 함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다.

통상임금 범위 확대가 핵심 교섭의 쟁점으로 꼽히면서, 타 공공기관에서도 유사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