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서울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에 110을 넘어섰다. 대출 금리 하락과 집값 상승세가 확산되며 시장회복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95.1로 전월(87.5) 대비 7.6p(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12.6p(86.4→99.0), 광역시는 5.7p(92.2→97.9), 도지역은 7.0p(84.5→91.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수도권인 서울(87.8→110.2, 22.4p↑)과 인천(85.7→89.6, 3.9p↑), 경기(85.7→97.2, 11.5p↑)는 모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입주전망지수 110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주택 시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5대광역시는 대전(100.0→100.0, 보합), 울산(107.6→100.0, 7.6p↓)을 제외하고, 광주(80.0→92.8, 12.8p↑), 대구(72.2→81.8, 9.6p↑), 부산(85.0→90.0, 5.0p↑)이 상승했다. 도지역은 세종(108.3→123.0, 14.7p↑)이 전국 최고 지수를 기록했다. 또한, 충북(75.0→100, 25.0p↑), 충남(83.3→100.0, 16.7p↑)도 크게 상승했다. 경북(88.8→81.8, 7.0p↓)은 도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하락했다.
지난 3월까지 78.5까지 하락했던 세종은 이달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망지수(123.0)을 기록했다. 조기대선을 앞두고 국회의사당,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약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하락했던 주택가격에 대해 상대적 저평가 인식이 작용하며 대전‧충청권 반등을 강하게 견인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시장회복에 대한 기대수요와 규제강화 회피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국적인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다만, 향후 주요국 간 통상질서의 불확실성과 6월 대선 이후 정국 변화 등 국내외 시장·정치 리스크의 해소 여부가 추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