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유발한 의료대란으로 국민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의료공백이 장기화되며 초과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수조원의 국가 예산이 소진됐음에도 필수의료 인력과 지방의료는 붕괴 일로에 있다는 지적이다.
안 의원은 14일 “윤 전 대통령은 의료개혁이라는 이름 아래 벌어진 이 파국에 대해 국민 앞에 통렬히 사과해야 한다”며 “계엄 논란보다도 더 심각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의대 증원 사태로 인한 전임의 이탈, 지방 의료 붕괴, 교육현장 혼란 등도 언급했다. 그는 “2026년 신입생까지 휴학에 동참할 경우, 3개 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받는 ‘트리플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의대 교육 현장은 전례 없는 혼란에 빠져 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더했다. 그는 “지금 우리 당 후보가 열심히 뛰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치적 발언은 중단하고 정치에서 완전히 손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재명 정부의 등장을 막기 위해서라도 윤 전 대통령의 지난 3년간 실정 및 계엄과의 결별이 필수 조건”이라고 덧붙였다.
의료 시스템 복구를 위한 대책도 제시했다. 안 의원은 먼저 △현장의 피해 실태 및 의대·병원 운영 여건 전수조사 △국민이 체감하는 의료 서비스 문제점 진단 △필수의료·지방의료·의사과학자 세 분야에 대한 구조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 협의체’ 구성을 공약으로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정부·의료계·정치권·의대생 대표 등이 동등하게 참여하는 사회적 대타협 기구를 꾸려, 10년 단위 중장기 로드맵을 함께 설계하고 해마다 미세 조정해 나가야 한다는 제안이다.
또한 협의체 논의에 따라 필수의료 인력 확충, 지방의료 강화, 의사과학자 양성을 병행하고, 관련 법 개정과 수가 현실화, 국가 예산 책정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안 의원은 “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그 기본을 바로 세우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