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 혁신특구' 선정

대전시,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 혁신특구' 선정

총사업비 272억 원 확보 최장 2031년까지 운영
공공 생산시설, 규제완화, 글로벌 연계로 전주기 사업화 지원

기사승인 2025-05-21 23:09:22 업데이트 2025-05-21 23:10:51
대전시 청사 전경. 사진=쿠키뉴스DB

대전시는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돼 6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21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지정은 전국 최초로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특구로 규제 완화와 글로벌 진출을 결합한 신산업 실증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구 지정은 지난해 12월,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관계 부처와의 규제 특례 협의, 공청회, 지방시대위원회(지방·중앙), 규제자유특구심의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쳐 21일 최종 확정됐다.

시는 6월부터 특구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며, 총사업비 272억 원을 확보해 2029년 12월까지 4년 7개월 동안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 성과에 따라 최대 2년 연장도 가능해 최장 2031년까지 운영된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기존의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모델로, 첨단 분야의 신제품 개발·실증과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서, 합성생물학 기반 특구 지정은 대전이 최초라고 시는 설명한다.

이번 대전 특구의 핵심은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합성생물학은 생물체의 유전자, 단백질 등 구성요소를 공학적으로 설계·제작하는 기술로, 기존 바이오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대량생산 및 고속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미국,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합성생물학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고 한국도 올해 4월,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 육성법'을 제정해 연구개발 촉진과 기반 조성을 위한 법적 틀을 마련했다.

이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파운드리 베타 시설을 활용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LMO(유전자변형생물체) 후보물질의 발굴과 성능 최적화를 지원한다. 이는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소재 개발을 뒷받침하며 국내외 시장 진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전망이다.

KAIST는 ‘mRNA/DNA 기반 생산지원센터’를 활용, 1등급 공공 LMO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기업의 신제품 실증·소량 생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를 성공적으로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증 및 사업화 전 과정의 운영 지원에 참여한다.

대전시는 첨단 바이오제조를 위한 규제완화, 기업 수요중심의 R&D, 글로벌 진출 트랙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의 지속 성장동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특구 운영을 통해 약 1600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시는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첨단 바이오제조 기술이 의약품, 식품, 농축산업,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산되며 신규 부가가치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명정삼 기자
mjsbroad@kukinews.com
명정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