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새로운 상호관세가 8월 1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될 예정이라고 재확인했다.
31일(현지시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 밤 자정까지 협정이 체결되지 않으면 8월 1일부터 상호관세율이 발효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상호관세 발효를 두 차례 유예해 왔지만,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8월 1일 0시1분부터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레빗 대변인은 이미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한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체결한 맞춤형 무역협정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해 상호관세가 합의된 대로 15%의 세율로 부과될 것임을 확인했다.
반면 아직 협상을 마치지 못한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7월 초 발송한 서한에 명시된 관세율을 부과 받는다.
래빗 대변인은 “미국과 협정이 없거나 관세 서한을 받은 나머지 국가들은 오늘 밤 자정 마감 시한까지 연락받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후나 저녁 늦게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외국 지도자들이 이 기한(8월 1일)이 자신들에게 내일부터 진짜 문제임을 깨닫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고 있으며, 협상 테이블에 제안을 가져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약값을 낮추기 위해 17개 메이저 제약사 최고경영자(CEO)에게 서한을 발송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