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LG디스플레이는 올해를 AX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3년 내 업무 생산성 30% 향상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미 지난해부터 AI 생산체계를 도입해 연간 약 2000억원의 수익성을 개선했고, 사무용 AI 어시스턴트를 자체 개발해 연 100억원의 외부 솔루션 비용을 줄였다는 설명이다.
◇ 한 달 걸리던 설계, AI로 8시간 만에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제품 설계 영역이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6월 이형(異形)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 개발을 완료했다.
이형 디스플레이는 정형(正形) 디스플레이와 달리 패널 외곽부 엣지 부분이 곡면이나 얇은 베젤로 이루어져 외곽부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설계해야 했다. 오류나 불량이 발생하면 처음부터 다시 작업해야 해 평균 1개월가량 걸렸다. 하지만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을 통해 패널 엣지 부분의 패턴을 자동으로 설계해 8시간 만에 완성할 수 있게 됐으며, 오류도 줄고 품질도 높아졌다는 평가다.
광학 설계 분야에서도 AI가 투입됐다. OLED 색 변화 시뮬레이션에 AI를 도입해 설계안 작성부터 검증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기존 5일 이상 걸리던 작업을 8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됐다
◇ OLED 전 공정에 ‘AI 생산체계’ 확산
생산 영역에서는 ‘AI 생산 체계’를 OLED 전 공정으로 확대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독자 개발한 ‘AI 생산체계’는 OLED 제조 공정의 도메인 지식을 학습해 수많은 이상 원인을 자동 분석하고 솔루션까지 제안한다. 그 결과 품질 개선에 걸리던 시간이 평균 3주에서 2일로 대폭 단축됐다. 현재 모바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이 시스템은 연내 TV, IT, 자동차용 등 모든 OLED 공정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AI 어시스턴트 ‘하이디’가 회의록·보고서 다 쓴다
사무 영역에선 AI 비서 ‘하이디(HI-D)’로 업무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 하이디는 사내 문서 200만건을 학습해 업무 관련 질문에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또, 지식 검색, 화상회의 실시간 번역, 회의록 작성, 메일 요약 및 초안 작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반기에는 보고용 PPT 초안 작성 기능까지 추가될 예정이다.
하이디의 기반은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EXAONE)’이다. 자체 모델을 쓰는 만큼 보안성이 높고 외부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회사 측은 하이디 도입 이후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이 약 10% 증가했으며, 이를 향후 3년 내 3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AX 전략을 바탕으로 OLED 중심 사업 구조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는 “전사 차원의 AX 혁신을 통해 근본 경쟁력을 높이고,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