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정 전 장관측이 정세균 대표측과 격전을 예고하고 있어, 이번 선거가 여야 대결에 앞서 당내 대결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정 전 장관의 핵심 측근인 한 재선 의원은 지도부의 결정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세균 대표가 개인 정치를 하느라 ‘이명박 정권 심판’이라는 대여 대결 명분이 사라졌다”며 “결국 4월 선거는 ‘정세균-정동영 서바이벌전’이 돼버렸다”고 비판했다. 특히 당내 비주류와 중진 의원들이 “정 전 장관이 당선될 경우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혀, 전주 지역의 선거전이 지도부의 명운을 가르는 이벤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형국이다.
정 대표 역시 최근 며칠간 당내 인사들과의 만남에서 “이번 일에 내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정면대결을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정 대표는 특히 이날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민주당이 더이상 과거 행태를 반복하는 형태로 공천을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정 전 장관에 대한 공천배제가 당 쇄신 차원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 때문에 정 대표측에서는 “당에서 덕진 선거를 이기겠지만, 정 전 장관이 설사 무소속으로 당선되더라도 복당시켜 줄 수 없다”는 방침이다.
양측의 한치 양보없는 대치는 수도권 선거 구도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양측의 비방전이 거칠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럴 경우 수도권 선거 역시 한나라당이 기대해온 ‘경제 살리기’ 선거나, 민주당의 ‘현 정권 중간평가’ 선거가 아닌 ‘정-정’ 대결의 연장선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