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노무현 전 대통령측의 돈 거래 파문이 4·29 재·보궐선거 판도는 물론 민주개혁 진영의 정치지형까지 크게 바꿔 놓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국민들의 시선이 현 정권보다 구 정권 쪽으로 쏠리면서 ‘이명박 정부 중간평가’라는 선거의 성격이 희석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럴 경우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인천 부평을 선거가 정권심판론보다는 한나라당 의도대로 ‘경제살리기 선거’ 구도로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여야의 표 결집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민주당의 고위 당직자는 8일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정치적 냉소주의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표 결집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고 부평을 선거도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이런 점을 의식해 민주당 정세균 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4·29 선거는 경제 무능, 특권 세력을 비판하는 선거”라고 애써 강조했다.
정 대표와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대결구도에도 불똥이 튈 전망이다. 친노무현 및 386 세력의 지지를 얻어온 정 대표의 경우 세력기반이 흔들릴 수 밖에 없고, 친노 세력과의 ‘밀월’ 이미지 때문에 향후 대선행보 등에서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정 전 장관은 정 대표와 당내 친노 세력이 자신에 대한 공천배제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경우 무소속 출마의 명분을 확보하는 반사이익을 얻게 됐다. 특히 전주나 부평을의 표심이 ‘친노세력의 단죄’ 또는 ‘반노 세력의 지지’로 흐를 경우 민주당이 선거에 완패하면서 지도부 교체라는 최악의 수순을 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 재기를 노려온 친노 세력들 역시 정치 복귀 시점이 늦어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 친노계 인사는 “한번 떠난 표심이 되돌아오는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리고, 또 이번 사안은 금세 잊혀질 성격의 이슈도 아니어서 앞으로 친노계가 정치권에 발판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뭔데 그래◀조혜련 '기미가요' 박수…무개념인가, 무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