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사회]
질병관리본부는 29일 "돼지 인플루엔자(SI) 추정환자로 분류된 50대 여성과 멕시코에서 함께 생활했던 여성 A씨가 30일 귀국할 예정"이라며 "A씨는 SI 추정환자와 상당 기간 가까이 생활했으므로 공항 검역소에서 검사한 후 바로 자택격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자택 격리 이후 보건당국의 관리는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일단 자택 격리 조치 대상자에 대해 보건 당국이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질병관리교육이다. 검역관이 SI의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대상자는 마스크를 항상 착용하고 다닐 것, 재채기를 한 후 입은 휴지로 닦아서 잘 버릴 것 등 기본적인 교육만 받는다.
대상자가 자택으로 돌아간 후 격리가 시작되면 해당 지역 보건소의 담당자가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지만 이 역시 형식적이다. 담당자는 환자 자택 방문은 하지 않은 채 전화통화로만 환자의 상태를 체크한다. 열은 어느 정도인지, 기침은 심한지 등을 물어볼 뿐이다. 이마저도 매일 하지는 않는다. 복지부 관계자는 "확인전화 빈도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보건 당국의 자택 격리 조치 시스템은 사스가 유행했던 6년전과 비교해 달라진 것이 없었다. 2003년 필리핀을 다녀온 회사원 전모(40)씨는 사스와 비슷한 증상을 보여 공항에서 검사를 받은 후 부인과 함께 자택에 격리 조치됐다. 하지만 당시 담당 보건소 직원은 일주일 동안 한번도 자택을 방문하지 않았고 전화만 고작 두차례 했을 뿐이다. 환자가 집 밖을 자유롭게 돌아다녀도 이를 감시하거나 제지하지 않았다. 격리 일주일이 지난 뒤에도 보건당국은 격리자에 대한 별다른 검사 없이 전화를 걸어 몸상태를 물었을 뿐이었다. 이들이 사스에 걸려 있었다면 2차 감염도 생길 수 있었던 것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격리 조치를 해도 자택에 가거나 자주 전화해 확인하기는 어렵다"며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국현 기자
jojo@kmib.co.kr
▶뭔데 그래◀ 또 연예인 마약… 영구퇴출 해야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