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정치]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은 19일 MBC PD수첩이 의도적으로 사실을 왜곡했다는 검찰 수사 결과를 놓고 하루 종일 날선 공방을 벌였다. 전날 "충격적이다.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던 청와대는 이날 다시 "외국 같았으면 경영진이 총사퇴해야 할 일인데 오히려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하니 본말이 전도됐다"고 격한 발언을 쏟아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통상 실명 비공개를 요구하는 '백브리핑' 관례와 달리 "실명을 써도 좋다"면서 10여분간 작심하고 PD수첩 보도 문제를 비난했다.이 대변인은 "주관이 객관적 진실을 압도케 한 것은 음주운전자에게 차를 맡긴 것과 마찬가지"라며 "그러다 음주사고를 내면 남이 피해를 보고, 그쯤 되면 사회의 공기가 아니라 흉기"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일부 방송사들이 미디어법을 반대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그들 주장 중 하나가 미디어법이 통과되면 저질 방송이 나오게 된다는 것인데, 지금 '공영'을 내건 방송사들이 가족 시간대에 패륜에 가까운 막장 드라마를 내보내고 있는데 어떻게 더 이상 수준 낮은 방송이 나올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 조문방송 때 국가원수를 욕설하는 내용까지 생방송으로 나오는 나라인데도 언론탄압 국가냐"고 따졌다.
한나라당 역시 이틀째 비판을 계속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PD수첩 작가의 이메일을 보면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며 "대다수 국민들도 배신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광근 사무총장도 "PD수첩 보도는 정부의 명줄을 끊기 위해 국민을 우롱한 사건이며 여기에 곁불을 쬐던 민주당은 굴절된 한국정치의 자화상"이라고 꼬집었다. 여권의 총공세는 쇠고기 협상 파동의 원인과 관련한 국민적 오해를 푸는 동시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급격히 악화된 여론 흐름을 반전시켜 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반면 야권은 검찰 수사 결과에 대해 "정치 검찰을 자임하고 나선 것"이라고 일제히 반발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확대 간부회의에서 "작가의 이메일을 증거로 채택한 것은 1970년대 '막걸리 보안법' 수준의 행태로 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노영민 대변인은 청와대를 겨냥, "이동관 대변인의 막말은 MBC를 향한 계엄군의 포고문과 같다"며 "청와대의 입맛에 맞지 않은 보도를 하면 해당 언론사의 경영진을 교체하겠다는 공갈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하윤해 기자
bhson@kmib.co.kr
▶뭔데 그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독재 발언 어떻게 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