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발 개헌론에 정치권 흔들흔들

청와대발 개헌론에 정치권 흔들흔들

기사승인 2009-09-16 17:25:00
[쿠키 정치] 청와대발 개헌론이 정치권을 흔들어대기 시작했다.

개헌론을 놓고 여야는 16일 하루 종일 설전을 주고받았다. 특히 여당 내부에서는 친이(親李), 친박(親朴)간 파열음이 터져나왔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이명박 대통령의 ‘소폭 개헌론’에 더해 ‘광폭 개헌론’을 제안해 논쟁의 불길에 기름을 부었다. 다만 복잡한 정치권의 역학관계상 실제 개헌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 의원 연석회의에서 친이계는 적극 개헌론을 주장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개헌은 시대적 요구이고 국민 70∼80%가 찬성한다”며 “의원총회를 소집해 개헌 문제를 논의한 뒤 당내에 개헌특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권력구조 개편을 중심으로 내년 상반기에 반드시 개헌이 완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안 원내대표의 발언이 끝나자마자 친박계 김영선 의원은 “의총에서 개헌 얘기를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제동을 걸었다. 김 의원은 “공감대가 모아지지 않은 지금에 개헌하면 분열의 소지도 있다”며 “좀더 오래 뜸을 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비공개로 전환된 회의에서 친박계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도 “이 대통령 발언을 안 원내대표가 바로 받아 마치 당론이 결정된듯 의총에 붙이겠다고 하는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측은 현행 헌법 체제에서 대선을 치르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친박계의 잇딴 제동에 친이계 공성진 최고위원은 “정치 효율성, 지역통합, 선거제도 개선 등을 하려면 헌법조항을 손댈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민주당도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정세균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적 공감대가 미흡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개헌 논의는 지방선거 이후 하는 게 온당하다는 게 민주당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구체적 안을 제시하지 않는 이 대통령 발언은 진정성이 없고 국면 전환을 위한 정략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선진당 이 총재는 “21세기에 맞게 중앙집권제형 국가구조를 연방 수준의 분권형 국가로 바꿔야 한다”며 “개헌은 시대적 소명이고 소폭이 아니라 광폭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강주화 기자
bhson@kmib.co.kr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손병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