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장관 회담에서 우리 정부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포함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추가 핵실험을 반대한다’는 양국 장관 공동명의의 공개 입장을 발표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주변 당사국들이 조속히 북핵 6자회담을 재개해야 한다는 점을 주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 관계자는 25일 “우리는 6자 회담이 필요하다는 입장에는 적극 동의한다”면서도 “다만, 회담을 하면 실질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어야 회담에 임할 수 있다는 게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회담에서는 시 주석의 방한 시기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우리는 시 주석의 방한 시기에 대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이다. 가능하면 상반기 중 방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국 측에 요청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아직 중국에서 구체적 방한 일정을 통보해온 것은 없다”면서 “시 주석이 ‘올해 중에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밝힌만큼 가능한 조기에 방한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특히 상반기 중에 방한을 약속받는다면, 1개월여 남은 기간에 시 주석이 방북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중국 지도자가 취임한 이후 북한보다 남한을 먼저 찾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방한 시기를 가능한 앞당기려 애쓰는 이유인 것이다.
양국은 아울러 일본의 집단자위권 추구와 과거사 문제 등을 거론하며 강한 우려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된다.
왕 부장은 박근혜 대통령 예방, 주한중국대사관 행사 등의 일정을 가진 뒤 27일 오후 한국을 떠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