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산불 발생 피해 지역의 산사태 발생 위험이 최대 200배가 높다는 연구가 나온 가운데 AI 기술을 활용하여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본격 진행된다.
25일 산림청 산하 한국임업진흥원에 따르면 AI 전문 기업인 ㈜투비유니콘과 산사태 현장대응 기술개발 사업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투비유니콘은 이번 협약을 통해 2029년까지 5년간 50억 6천여만원을 투입하여 ‘멀티 AI 드론과 이동 중계기 기반 산사태 현장 긴급통신망 구축 및 매몰자 탐지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우리나라 산사태 발생 건수는 2021년 54건에 그쳤으나 2022년 327건, 2023년 459건으로 2년 사이에 약 8.5배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번 대형 산불지역에 대규모 산사태 발생 우려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산불에 의한 2차 피해 대비와 함께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피해저감 시스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투비유니콘은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손잡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산사태 대응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산사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할 긴급통신망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엣지-클라우드 협업 AI 시스템을 적용한 실시간 산사태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윤진욱 대표는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과의 이번 협력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산사태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양 기관의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결합하여 실질적으로 재난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은 향후 산림청이 AI 기술을 재난 대응 시스템에 선도적으로 도입하여 한층 더 지능화된 재난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본 연구과제의 성과물인 엣지-클라우드 협업 AI 시스템 기반 산사태 현장 모니터링 플랫폼을 통해 산사태 등의 재난 발생 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련 기관과 즉시 공유함으로써, 신속한 의사 결정과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