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 삼엽충 전문서적이 나왔다.
삼엽충은 고생대 표준화석으로 다른 고생물 연구 및 지층의 나이와 연대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지질박물관은 우리나라 삼엽충 화석의 연구성과를 종합한 ‘한국의 지질유산: 삼엽충’을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책은 삼엽충의 기초 개념부터 국내 주요 화석 산출 정보까지 폭넓게 다루며 대중성과 학술성을 동시에 갖춘 국내 최초 삼엽충 전문서다.
삼엽충은 고생대 전 기간 동안 번성했던 해양 절지동물로, 외골격과 정교한 겹눈을 갖고 있고 생물학적으로 곤충과 동등한 수준의 대형 절지동물군에 속한다.

삼엽충은 세계에서 2만 2,000여 종이 보고됐고, 특히 대륙 이동과 판구조론을 입증하는 과학적 증거로 활용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100년 전부터 삼엽충 연구가 시작돼 현재까지 단일 화석군으로는 가장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되는 대표 화석으로 꼽힌다.
화석은 지구와 환경이 지질학적 시간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와 생명과 인간의 기원,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할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삼엽충은 우리나라 대표 지질유산으로, 이번 책자는 삼엽충의 정의, 기원, 형태, 생태를 설명하고, 우리나라 지질과 삼엽충 연구의 역사 등 기본 개념을 담고 있다.
아울러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삼엽충 40종을 선별해 소개하고, 삼엽충 화석 탐사방법 등도 서술해 연구자와 일반인 모두를 위한 입문서 역할도 기대된다.또 부록에는 국내 공식 보고된 삼엽충 288종의 산출지, 문헌정보, 사진이 있어 종합 데이터베이스로서 연구자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외 연구자 협조로 희귀 삼엽충 사진, 알을 품은 개체, 삼엽충 조상으로 추정되는 화석 등도 수록했고, 형태학 이해를 돕기 위한 전문 삽화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한 모든 삼엽충 사진도 담았다.
홍발 지질박물관 박사는 “삼엽충이 국내 처음 보고된 지 100주년을 맞아 발간된 이 책은 지질유산 삼엽충 화석의 소중함과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로 미래 세대가 우리 지질유산의 가치를 계승하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지질유산: 삼엽충’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누리집 간행물 코너에서 구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