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이하 우주기술 특구)가 2025년도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선정됐다고 대전시는 21일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우주기술 특구는 대전시가 기획을 총괄하며 대전테크노파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지역 주요 기관이 공동 참여해 민․관 협력 기반으로 추진된다. 항우연은 실증 총괄을, 테크노파크는 참여기업의 지원과 운영을, 민간기업은 부품 개발과 검증을 맡는다.
특구 사업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충남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솔루션, 케이마쉬㈜, 한양이엔지㈜, ㈜지먼트, 블루젯스페이스, 평창테크(주), (주)에너베스트 등 총 11개 사업자로 대기업을 비롯해 우주·국방 전문기업,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으로 구성됐다.
우주기술 특구는 유성구와 대덕구 일원에 약 515만㎡ 규모로 조성되며, 2025년 6월 1일부터 2029년 12월 31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총 19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우주추진용 고압가스 기반 부품의 시험·제작·인증 전 주기 실증을 수행한다.
특히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현행 규제를 일정 부분 유예 또는 완화해, 고압가스를 활용한 부품의 제작·시험·인증까지 실 환경에서 전 과정을 실증할 수 있다.
유호문 대전시 전략산업정책과장은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한축을 담당해 온 대전시가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민간 기업을 참여시킨다는 데 의미를 두며 기술혁신뿐 아니라 관련 기업들의 사업화 진입장벽을 낮추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리별 1호부터 누리호까지 대한민국 우주산업 발상지인 과학수도 대전이 글로벌 우주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는 특구 운영을 통해 2025~2029년 동안 약 675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389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되며 ‘2030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 연계해 누적 1조 3천억 원 규모의 장기적 생산 유발 효과를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