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이후 주춤했던 서울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지며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 똘똘한 한 채 수요와 주요 재건축 단지 위주로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됐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오르며 지난주(0.10%)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집값은 16주째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서초구(0.23%→0.32%), 송파구(0.22%→0.30%), 강남구(0.19%→0.26%), 양천구(0.13%→0.22%)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재건축 추진단지 등 주요 선호 단지 위주로 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일부 단지는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체 서울 전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은 0.02%에서 0.03%로 소폭 상승에 그쳤다. 다만, 정비사업을 추진 중인 경기 과천시(0.23%)와 성남시 분당구(0.21%) 등이 크게 상승했다. 실제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단지들도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다. 부림동 ‘주공9’ 전용 47㎡는 지난달 18억8000만원에 손바뀜해 전월 거래된 16억원보다 2억8000만원이 올랐다. 중앙동 ‘주공10’ 전용 105㎡ 역시 29억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 직전 거래(28억원 3월)보다 1억원 뛰었다.
반면, 지방은 -0.02%에서 -0.04%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세종시(0.30%)가 행정수도 논의로 주목받으며 6주 연속 상승했으나 전남(-0.11%), 대구(-0.10%), 대전(-0.07%), 광주(-0.07%), 경북(-0.06%), 부산(-0.04%) 등이 하락한 영향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금융권은 수도권 대출 규제를 강화한다.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7월1일부터 은행, 제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기타대출의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DSR을 적용할 때 기존(0.75%)의 두 배인 1.5%의 스트레스(가산) 금리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소득 1억원인 차주가 5년 혼합형 주담대를 신청할 경우, 기존 2단계 기준에서는 최대 6억3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으나 3단계 적용 시 5억9000만원으로 줄어든다.
그러나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지속되며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연구위원(NH WM마스터즈 전문위원)은 “다주택자보다 보유 실익이 큰 1주택 집중화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정비사업 기대지역에 대한 국지적인 선호 쏠림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선 이후 정책 방향이 바뀌어도 수요가 회복 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반등은 쉽지 않을 것”이라 내다봤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도 “대출 의존도가 높은 수도권 실수요층을 직격하며 주택 거래 위축과 가격 상승세 둔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지방은 수요 기반이 약하고 미분양 물량이 누적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시적 수요 유입이 있어도 실질적인 회복으로 이어지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출 강화는 단기적 부채 억제에는 효과가 있지만 실수요자의 주거 진입 장벽을 높이고 수도권과 지방의 시장 양극화를 확대시킬 가능성도 함께 있다”고 말했다.
